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인기검색어

검색
국문초록
최근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디지털경제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데이터 댐”과 5G·AI와 융합ᆞ·활용하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경제 가속화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온라인 거래 확대 등에 대응하고자 국회에도 다양한 입법안이 제출되고 있다. 신기술의 증대에 따른 무분별한 개인정보의 활용이 개인의 사생활을 근본적으로 침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이전보다 강화된 개인정보보호정책 추진이 요구되고, 기술 환경의 변화에 따른 비인간성의 증대라는 관점에서 기술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근본적인 한계를 규율할 수 있도록 기술·윤리·철학·사회·정책·경제·소비 관점에서의 다양한 균형점을 모색하는 시도가 필요해지고 있다.
이에, 인간과 기술이 공존할 수 있는 개인정보 분야의 새로운 규범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제간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개인정보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정책과 입법의 방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즉, 다양한 이론분야와 실무분야를 다층적으로 살펴 분석하고, 개인의 연구성과의 단순 집합이 아닌 연구자와 연구집단간의 다양한 논쟁과 논의의 장을 통하여 새로운 시스템 구축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검토해 나가야 한다. 즉, 개인정보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논의에 시대별 변화의 흐름이 있음을 인지하고, 디지털경제 시대 개인정보의 성격 변화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법제의 수준과 범위에 대한 사회적 합의점을 도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윤리·철학적 관점에서 인격권의 보호 대상인 개인정보와 디지털경제시대 경제재로서의 특성을 가지게 된 데이터자산으로서의 개인정보라는 새로운 관점을 균형감있게 고려하고, 개인정보의 유형과 범위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윤리·철학적 인식의 변화, 개인정보 개념의 전환에 따른 정보주체 권리의 보호 법제 변화 등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 즉, 기술의 변화나 생활 방식에 따라 변화하는 개인정보의 성격과 이에 따른 정보주체 권리의 개념과 유형에 대한 변화가 인격권으로서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정책과 입법에 반영되어 온 연혁을 살펴봄으로써 디지털경제 시대 사회구성원 인식 변화에 따른 균형 잡힌 개인정보 정책 방향과 정책 수행의 근거가 되는 법제의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본 연구에서 디지털경제 시대 개인정보의 성격 변화에 따른 다양한 이슈의 확인을 통하여 정리한 이용자 권리 극대화 방안과 정책적 과제 및 입법 논의 방향성 설정의 기준 등이다.
...
영문초록
In the midst of a rapid transition to a digital economy based on data, the Korean government is promoting various policies to converge and utilize “data dams” and 5G·AI.
Online customized advertising, in which business operators collect information on consumers’ online activities such as purchase and search history, web-site visit history, and application usage history, and provide them according to individual consumers’ interests, preferences, and inclinations, is on the ris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fact of using personal information or the difference from general advertisements, so it is difficult to make a reasonable choice.
In this regard, in view of the fact that indiscriminat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following the increase in new technology can fundamentally infringe on individual privacy, a stronger privacy policy is required than before, and inhumanity increases due to changes i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Attempts to find various balance points from the perspectives of technology, ethics, philosophy, society, policy, economy, and consumption are becoming necessary to regulate the fundamental limits to respond to technological change from the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new personal information paradigm through various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review the direction of policies and legislation in order to present the direction of a new norm in the field of personal information where humans and technology can coexist.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xamine and analyze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fields in multiple layers, and present and review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building a new system through various debates and discussions between researchers and research groups, rather than a simple set of individual research results. do. In other words, recognizing that there is a trend of change by era in the discussion on the concept and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efforts to draw a social consensus on the level and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egisl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nature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digital economy era.
Therefore, in this study, from an ethical and philosophical point of view, a new perspective of personal information as a data asset that has characteristics as an economic good in the digital economy era and personal information that is subject to protection of personality rights is considered in a balanced way, and social awareness of the type and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is considered.

Changes in ethical and philosophical perceptions, and changes in the laws to protect the rights of data subjects following the conversion of the concept of personal information.
In other words, by examining the history in which the nature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changes according to technological changes or lifestyles, and the corresponding changes in the concept and types of information subject rights have been reflected in policies and legisla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s a personal right, the digital economy.
It is possible to present a balanced personal information policy direc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members of society in the era and a desirable improvement plan for the legislation that serves as the basis for policy implementation.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과 기대효과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3절 개인정보 및 개인정보 규제에 관한 주요 선행연구 및 논의 동향
제2장 개인정보 성격에 대한 인식 및 패러다임의 변화
제1절 개인정보 및 그 성격에 대한 인식의 변화
제2절 개인정보 성격 변화에 따른 국내외 입법 패러다임의 변화
제3절 법제 패러다임과 개인정보
제3장 개인정보 관련 소비·경제 관점에서의 개인정보 성격 변화 분석
제1절 개인정보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제2절 소비자 행동과 개인정보
제3절 데이터의 외부효과
제4절 기술환경 변화와 개인정보에 대한 새로운 관점
제4장 개인정보 관련 정책·법제 관점에서의 개인정보 성격 변화 분석
제1절 개인정보 관련 법제 현황과 법률에서의 개인정보 개념의 변화
제2절 국회 및 사법부 입법·판례 동향
제3절 주요국 개인정보 및 관련 법제의 변화
제5장 개인정보 관련 국내외 협력 관점에서의 개인정보 성격 변화 분석
제1절 디지털 통상과 무역장벽
제2절 국내 신기술과 개인정보 정책 방향 및 규제 체계에 대한 검토
제3절 자율규제 체계의 도입과 국내 개인정보 정책에 관한 민관학 협력의 필요성
제6장 결 론
■ 참고문헌
■ 부록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공공누리 정보

공공누리 정보 유형4
공공누리 정보 유형4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성과물 의견 등록
  •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새창)카카오 챗봇 상담
(새탭)대한민국국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 대통령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기획재정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정책브리핑(공감코리아)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정부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RISM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JOB-ALIO(공공기관채용정보박람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민권익위원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공공데이터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K-Developpedia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회도서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OINT정책정보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경제e정표 사이트 바로가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