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인기검색어

검색
국문초록
근로시간과 관련한 논의에서 한국은 대표적인 장시간 노동 국가로 널리 알려져 왔다. 그런데 근로시간의 구성변화가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적이면서도 급속하게 진행되어 왔다는 것도 분명한 사실
이다. 그러나 후자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고 관련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근로시간 구성의 급격한 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문제는 많겠으나, 기존 고용지표의 유효성에 대한 문제가 대표적이다. 이는 노동시장 분석에 사용되는 가장 기초적인 자료(data)에 대한 문제 제기이므로, 노동시장에 대한 분석의 근간을 뒤흔들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다.
목차
요 약 i

제1장 서 론 (남재량) 1

제2장 취업자의 근로시간 구성변화 (남재량) 4
제1절 장기적인 변화 4
제2절 최근의 변화 6
제3절 소 결 16

제3장 전일제 환산 고용지표와 그 특성 (남재량) 17
제1절 정 의 17
제2절 측 정 20
제3절 FTE 환산 고용률과 GDP의 관계 24
제4절 소 결 25

제4장 가구 고용률과 그 특성 (남재량) 27
제1절 가구 고용률의 정의 27
제2절 가구 고용률 측정 결과 28
제3절 빈곤과의 관계 30
제4절 소 결 33

제5장 노동시장 정책 및 환경 변화와 전일제 고용 (최형재) 34
제1절 근로시간 단축이 전일제 환산 고용에 미친 영향 : 2018년‘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을 중심으로 36
제2절 휴가 사용이 전일제 환산 고용에 미친 영향 59
제3절 최저임금 인상이 전일제 환산 고용에 미친 영향 82
제4절 소 결 98

제6장 인구구조 변화가 고용률과 전일제 환산 고용률에 미치는 영향 (이철인) 104
제1절 문제의 제기 104
제2절 본 연구의 접근 109
제3절 노동시장 근로형태 : 요인 및 추세분석 113
제4절 시산결과 121
제5절 요약 및 소결 133

제7장 결 론 (남재량․이철인․최형재) 156

참고문헌 162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공공누리 정보

공공누리 정보 유형4
공공누리 정보 유형4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성과물 의견 등록
  •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새창)카카오 챗봇 상담
(새탭)대한민국국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 대통령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기획재정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정책브리핑(공감코리아)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정부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RISM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JOB-ALIO(공공기관채용정보박람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민권익위원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공공데이터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K-Developpedia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회도서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OINT정책정보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경제e정표 사이트 바로가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