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명 청년 빈곤 실태와 자립안전망 체계 구축방안 연구 Ⅰ
-
보고서명(영문)
-
연구책임자 김형주소속기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 연보라외부연구참여자 정세정,변금선
-
발행기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공개여부 공개
-
출판년도 2021
-
페이지 676ISBN 979-11-5654-343-5
-
보고서 유형연구유형 정책
-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 국문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빈곤에 대한 다차원적이고 심층적인 실태와 영향요인을 3년간 연속연구를 통해 누적적으로 파악하고 청년 빈곤에 대한 예방 및 지원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청년들의 사회적 자립을 위한 정책적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금년도 1차년도는 연속연구 첫해로서 청년 빈곤의 분류틀 및 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지표별 실태 및 유형 분석, 경제/소득 및 노동 빈곤의 인식과 정책 욕구 파악 등을 통해 자립안전망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년 빈곤의 개념을 ‘성인기 이행 과정에서 기본적인 삶과 사회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원과 기회가 박탈, 결핍된 상태’로 정의하였고, 청년 빈곤의 영역을 경제, 노동, 주거, 건강, 교육, 사회·문화자본 등 6개 영역 총 12개 빈곤지표로 분류하여 그 실태와 빈곤유형에 대한 심층분석을 하였다. 또한 청년 빈곤 문제의 1차년도 중점영역인 경제/소득 및 노동영역에 관한 상황, 인식, 전망, 정책 욕구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청년의 자립안전망 체계의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 제언으로서 경제와 노동이라는 2개 분야 총 12개의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년의 빈곤 문제를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그에 부합하는 청년들의 자립안전망 체계 구축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목차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