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인기검색어

검색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빈곤에 대한 다차원적이고 심층적인 실태와 영향요인을 3년간 연속연구를 통해 누적적으로 파악하고 청년 빈곤에 대한 예방 및 지원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청년들의 사회적 자립을 위한 정책적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금년도 1차년도는 연속연구 첫해로서 청년 빈곤의 분류틀 및 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지표별 실태 및 유형 분석, 경제/소득 및 노동 빈곤의 인식과 정책 욕구 파악 등을 통해 자립안전망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년 빈곤의 개념을 ‘성인기 이행 과정에서 기본적인 삶과 사회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원과 기회가 박탈, 결핍된 상태’로 정의하였고, 청년 빈곤의 영역을 경제, 노동, 주거, 건강, 교육, 사회·문화자본 등 6개 영역 총 12개 빈곤지표로 분류하여 그 실태와 빈곤유형에 대한 심층분석을 하였다. 또한 청년 빈곤 문제의 1차년도 중점영역인 경제/소득 및 노동영역에 관한 상황, 인식, 전망, 정책 욕구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청년의 자립안전망 체계의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 제언으로서 경제와 노동이라는 2개 분야 총 12개의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년의 빈곤 문제를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그에 부합하는 청년들의 자립안전망 체계 구축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2. 연차별 연구추진계획7
3. 연구내용8
4. 연구방법9

Ⅱ. 청년 빈곤에 관한 선행연구 및 정책동향 고찰
1. 청년 빈곤의 개념화 논의13
2. 청년 빈곤 관련 선행연구 고찰20
3. 청년 빈곤 정책 및 법제도 동향28
4. 해외 청년 빈곤 정책 추진 동향59

Ⅲ. 청년 빈곤 실태 분석
1. 청년 빈곤의 분류 틀 및 지표91
2. 우리나라 청년의 다차원적 빈곤 실태110
3. 청년 다차원 빈곤 심층 분석146

Ⅳ. 청년 빈곤 관련 의식, 전망, 정책욕구에 관한 조사
1. 조사 개요189
2. 청년의 소득191
3. 청년의 노동331
4. 청년 빈곤에 대한 인식 및 정책욕구418

Ⅴ. 청년 빈곤의식 심층면담
1. 면담조사 개요509
2. 면담조사 분석 결과513
3. 소결 및 시사점571

Ⅵ. 자립안전망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 제언 및 결론
1. 정책 비전 및 분야581
2. 정책 제언582
3. 결론606

참고문헌611
부 록629
국문초록673
Abstract675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공공누리 정보

공공누리 정보 유형4
공공누리 정보 유형4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자료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성과물 의견 등록
  •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새창)카카오 챗봇 상담
(새탭)대한민국국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 대통령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기획재정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정책브리핑(공감코리아)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정부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RISM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JOB-ALIO(공공기관채용정보박람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민권익위원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공공데이터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K-Developpedia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회도서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OINT정책정보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경제e정표 사이트 바로가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