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보고서명고등학교 미술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제7 차 교육과정은 초등학교부터 7 고등학교 1학년까지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고등학교 2, 3학년은 선택중심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7차 선택 중심 교육과정은 학생들에게 과목 선택권을 허용하여 교육 내용의 개인적 적합성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취지에서 도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와 내용들이 선택중심 교육 과정의 취지에 적합한 지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하고, 운영 실태를 중심으로 문제점
    을 파악하여 학교에서 다양한 미술 교육이 학생들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선행 연구와 교육과정 문서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고, 연구 쟁점별 전문가 협의회 개최, 전국 단위의 현장 설문 조사 등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보
    고서 각장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외국의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일본, 대만의 고등학교 미술 과목의 구성 체제와 운영 방식, 개설
    내용 등을 분석하여 이번 교육과정 개선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미술 과목들이 개설되어 있었다. 둘째, 과목 명을 바꾸는데 참고할 내용으로는 세부 실기 과목 명 외에도 ‘Art Foundations’, ‘Studio Arts’, ‘Media Arts’, ‘조형 예술’, ‘예술 생활‘ 등이 있었다. 셋째, 국가 수준에서 개발하는 미술 관련 선택 과목의 성격이나 내용을 미국, 영국, 대만의 경우처럼 이전의 10학년까지의 성취 기준 또는 성취 수준, 내용 기준 등과 연계하여 보다 심화된 수준에서출발점을 정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넷째, 외국의 미술과 선택 과목의 성격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접근을 보여준다. 하나는 일반 교육 차원에서 좀더 전문 교육 차원으로 나아가는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또 다른 한 가지는 미술에서의 교양이나 전공의 소양에 요구되는 과목들을 개설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선택 과목을 개설할 때 선정의 기준에서 반드시 한 가지 목적보다는 ‘선택’과 ‘집중’을 조화시킬 수 있는 몇 가지의 목적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다섯째, 미술관련 선택 과목의 내용 구성 및 제시 방식에 있어 학습 주제나 교재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제3장에서는 일반계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관련 선행 연구와 교육과정문서의 편성운영 지침을 분석하여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도입 취지에서 ‘선택’의 의미,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과목 구조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제7차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학교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현행 선택 과목별 적절성에 대한 현장교사, 학생, 전문가들의 의견과 개선 방안을 조사하였다. 제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교육의 ‘종결’과 ‘준비’의 두 가지 다른 목적을 반영하여 일반 선택 과목과 심화 선택 과목을 개설하도록 하였다. 이에 맞추어, 미술과는 일반 선택 과목으로 ‘미술과 생활’을, 심화 선택 과목으로 ‘미술 이론’, ‘미술 실기’를 개설하였다. 이 가운
    데 미술과 심화 선택 과목에 대한 편성운영은 ‘예술에 관한 전문 교과’에 따르도록 되어 있고, 일반 고등학교에서의 편성운영에 대한 지침을 따로 제시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미술과 생활’ 교육과정 문서와 예술계 과목인 ‘미술 이론’, ‘소묘’ 과목의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가 각 선택 과목의 개설 목적에 적합한지를 검토하였다.
    제 4장에서는 이상의 연구 내용별로 시사점을 도출하고 각각의 쟁점을 중심으로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개선의 기본 방향은 첫째, 일반
    계 고등학교 학생의 다양한 적성과 진로를 고려한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둘째, 고등학교 1학년까지 배운 미술 교과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고려하여 선택 과목을 구성
    함으로써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확보한다. 셋째, 새로운 미술 교육의 방향과 현장의 요구에 적합한 내용으로 선택 과목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다양한 미술 교육이 학교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술과 선택 과목을 운영할 수 있는 제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본 방향에 따라 선택 과목 구성 체제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제5장에서 미술과 선택 과목 교과용도서 개발 및 심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교육과정은 교과서를 통해 구현되고 교사들의 수업에 직접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교육
    과정 개발과 함께 교과서에 제대로 구현되기 위한 방향 제시와 지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제7차 교과용 도서 개발 및 심의 방향에 기초하면서 이번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반영하고, 과목별 교육 내용이 제대로 구현될 수 있는 내용 선정과 조직, 외형 체제 등을 탐색하여 편찬 및 심의 방향을 수정,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 제언에서는 미술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단위 학교에서 실제 운영하는데 필요한 단기, 장기적인 정책 방안을 제안하였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