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보고서명글로벌 데카콘 기업의 성장경로 분석 - 미국과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 보고서명(영문)Analysis of the growth path of global Decacorn companies: Focusing on the U.S. and China cases
  • 책임자 백서인
  • 소속기관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김영환,김정호,윤여진
  • 외부연구참여자이승우,권상집,이상훈
  • 발행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ISBN978-89-6112-716-5
  • 출판년도2020
  • 페이지239
  • 보고서유형 기본연구보고서
  • 연구유형 기초
  • 표준분류 과학기술 > 과학기술일반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데카콘, 혁신생태계, 성장 경로, 성장 요인, 혁신 기업
  • 1. 서론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과거 글로벌 기업들이 수십 년의 성장을 통해 실현한 가치를 혁신 기업들은 10년 안에 실현
    - 미국의 GAFAM(Google, Amazone, Facebook, Apple, Microsoft)은 개별 시가 총액이 1조 달러를 돌파했으며, 중국의 BATH(Baidu, Alibaba, Tencent, Huawei) 역시 거대한 내수수요와 정부의 지원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다나카 미치아키, 2019).
    - 기업가치가 1조원 이상 하는 비상장 스타트업을 의미하는 유니콘은 이제 매우 흔해졌으며, 가젤, 카피 타이거 등 다양한 형태의 혁신 기업을 지칭하는 신조어가 생겨남
    - 이러한 과정에서 기업가치가 10조원 이상인 비상장 기업인 데카콘과 기업가치가 100조원 이상인 비상장 기업인 헥토콘이 탄생
    ○ 진정한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양적 증가와 질적 성장을 동시에 구현하고, 그 과정에서 기존 사업자들이 제시하지 못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함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국과 중국의 대표 데카콘 기업의 사례분석을 통해 정책 시자점을 도출하고자 함




    2. 선행 연구 및 현황 분석
    □ 데카콘 개념 및 국내외 현황
    ○ (데카콘의 개념) 기업가치 100억 달러 이상의 비상장 벤처기업을 이르는 말로, 2013년 미국 카우보이벤처스의 에일린 리(Aileen Lee)가 기업가치 10억 달러가 넘고 창업 10년 이하인 비상장 벤처기업을 ‘유니콘’으로 명명한 것에서 발전함
    ○ (주요 특징) 데카콘은 혁신적 기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보유하고 있으며, 거품과 수익성 논란도 존재
    - 유니콘/데카콘 기업은 혁신적 기술과 이전에 없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
    - 데카콘은 투자 유치를 통해 자본금을 확보하고, 기업공개(IPO), 인수합병(M&A) 등 방식으로 이익을 실현
    - 데카콘 기업에 대한 가치평가는 통상 가장 최근 투자라운드의 금액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며(Gornall, W., & Strebulaev, I. A., 2020), 가치를 책정하는 기관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나타나기도 함
    - 일부 데카콘 기업들은 기업공개 이후 부실한 수익구조가 노출되고, 이익이 감소
    ○ (글로벌 데카콘 현황) 세계 데카콘 기업은 미국과 중국이 양강구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최근 신흥국의 데카콘 기업들도 탄생
    - 미·중 데카콘 기업의 평가액 합은 전체 글로벌 데카콘 평가액의 85%를 상회
    - 2020년 하반기 중국의 바이트댄스가 평가액 1위를 차지하며, 2015년 이래로 줄곧 미국기업이 1위를 차지하던 지형에 변화가 생김
    - 신흥국 데카콘: 인도(3개), 영국(1개), 싱가포르(1개), 인도네시아(1개), 브라질(1개)
    - 데카콘 기업은 ① 공유 경제·플랫폼, ② 핀테크·블록체인·빅 데이터, ③ 제조, ④ 첨단 기술형으로 유형화 됨

    □ 미‧중 스타트업 혁신생태계 현황
    ○ 미국은 시리즈D 이상의 후기 단계의 스타트업 투자 비중(건수 기준)이 7% 수준으로 한국의 1%보다 크게 높으며, 1억 달러 이상의 메가 투자 건수도 177건, 385억 달러 규모(2018년 기준)에 달함
    ○ 투자 단계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미국에 비해 초기(시리즈 A) 단계의 투자가 매우 활성화되었고, 금액 기준으로는 중기 시리즈(B·C) 투자도 매우 활발함
    ○ 미‧중 모두 네거티브 규제 시스템으로 인해 신기술 기반의 서비스와 신산업으로의 진출이 용이함
    ○ 미‧중 양국 모두 대학발 창업, 유경력 창업, 연쇄 창업 등 다양한 형태의 창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 혁신기업의 성장요인 및 경로
    ○ (자원에 대한 접근) 창업자의 자원(인력, 기술, 금융, 지식 등 기타 유·무형 자원)에 대한 접근 및 확보
    ○ (자원의 배치 및 이동) 수익 창출 및 초기 성장 기회 포착을 준비하기 위한 기업 내 자원의 배치/이동
    ○ (자원의 발전) 학습과 경험(시행착오 포함)을 통해 기업의 자원과 역량의 양적·질적 개선 및 확대
    ○ (성장 강화) 경영 활동의 변화(도전적인 기회 탐색, 옵션(선택사항의 활용과 적절한 선택), 자본 조달의 성격 변화, 내부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성공적이고 지속적인 성장기반 마련
    ○ (성장 전환) 성장 제약요인 제거, 수요의 부족 및 정체 문제 해결과 같은 성장 정체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

    3. 미‧중 데카콘 사례 분석
    □ 메이투안
    ○ (내부 성장요인) 기술과 비즈니스 혁신과 단계별 거액의 투자유치를 통한 성장
    - 기술/비즈니스 혁신: ➀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기반의 시장 진출 전략 구사(광고시장 1위인 바이두 위협), ➁ Baas 통합 수직 시스템 구축 및 개발, 스마트 공급망 체계 구축(무인택배함, 배달 오픈플랫폼), ➂ 앱 접속 빈도가 높은 서비스의 연결과 확보에 집중
    ○ (외부 성장요인) ➀ 경쟁사 대부분 1선 도시를 중심으로 경쟁하여, 2,3,4선 도시 초기 선점 가능, ➁ 중국 ‘인터넷 플러스 전략’에 따른 전통산업의 인터넷화, ➂ 중국 소비자들의 배달앱 활용률 증가 등

    □ 우버
    ○ (내부 성장요인)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혁신, 대형투자 유치를 통한 성장
    - 기술: 공유플랫폼, 자율주행, AI기술, 폭넓은 사용자 경험, 빅데이터 기반 수요 예측
    - 기술/비즈니스 모델 혁신: ➀ 모빌리티 통합화를 통한 플랫폼 비즈니스, 주문형 서비스(On-demand) 활성화, ➁ 초기 수요 대규모 확보, 최신기술(모바일결제, GPS) 적용하여 플랫폼 발전기반 구축, 해외시장 개척, ➂ 모빌리티 및 플랫폼 서비스로 사업 확장
    - 투자: T기업 초기투자 경험 많은 대형VC, 성장기업투자 경험 많은 CVC로부터 대형투자 유치
    ○ (외부 성장요인) 대형 VC투자가 가능한 벤처 생태계, 공유·플랫폼 기반 서비스에 대한 정부의 규제 완화(先허용, 後규제), 플랫폼 기업 간 경쟁을 촉진시키는 정책 지원, 자동차 산업의 트렌드 변화(커넥티드카로의 이동) 등

    □ 드롭박스
    ○ (내부 성장요인)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혁신, 대형투자 유치를 통한 성장
    - 비즈니스 모델 혁신: ➀ 사용자 가치 극대화-직관적인 UI 및 효율적인 UX 제공, 호환성과 파일 동기화 속도 경쟁력, ➁ 핵심 사업에 대한 기술개발 강화, 연구개발 인력의 지속적 충원, 대규모 고객 확보 지속, ➂ 초기 무료화로 단기 내 대규모 고객 확보, ➃ 린스타트업 전략-서비스 개발/보완 전 과정을 공개하는 개방형 혁신 실현, 시제품 형태의 제품 출시
    - 투자: 글로벌 엑셀러레이터, 대형 VC, 대형사모펀드 등 성장 단계별로 특화된 지속적 투자 유치


    □ 바이트댄스
    ○ (내부 성장요인)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콘텐츠, 글로벌화 전략, 대규모 투자 유치
    - 기술: 인공지능 기반의 ‘큐레이션(curation)’ 기술로 사용자 기호 파악 및 맞춤형 콘텐츠 제공, R&D 중심의 인력구조를 기반으로 사업 초창기부터 모바일에 특화된 인공지능 기술 개발/활용에 매진
    - 비즈니스 모델: 인공지능 기반의 차별적 서비스 개발, 현지화 기반의 글로벌화
    - 콘텐츠: 터우탸오(뉴스제공 서비스), 더우인/틱톡(쇼트 비디오 플랫폼)
    - 투자 유치: 세콰이어캐피탈, 소프트뱅크 등으로 부터 누적투자 56억 달러 유치
    ○ (외부 성장요인)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이익 효과, 벤처투자 생태계 활성화 등의 외부 성장요인이 존재한 반면, 국내외 경쟁기업 출현, 글로벌 이슈 등의 위협요인도 함께 발생
    -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 중국의 디지털 전환, 급속한 모바일화로 SNS 이용률 및 모바일 광고액 급증
    - 벤처 투자 생태계: 미국, 중국, 일본 자본의 중국 투자 활성화
    - 국내외 경쟁기업 출현: 페이스북(라쏘), 인스타그램(릴), 구글(파이어워크), 콰이셔우
    - 중국내 위협: 콘텐츠 선정성 이슈로 인한 중국 내부의 검열 및 제재
    - 글로벌 이슈: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이슈로 인한 미국의 제재, 국제관계 악화로 인한 인도의 제재

    □ 디디 추싱
    ○ (내부 성장요인) 핵심기술(Big & Thick 데이터, 인공지능), 공격적 시장선점 및 M&A, 공격적 해외 진출, 투자 유치 및 인수 합병 등을 통해 성장
    - Big & Thick 데이터: 하루 100TB 이상의 주행경로/하루 100만 시간 이상 분량의 영상 데이터 축적, 인공지능(췬옌 플랫폼, 자율주행 카세어링 서비스)
    - 공격적 시장선점 및 M&A: 콰이디다처, 우버차이나 등 주요 경쟁사 인수
    - 공격적 해외 진출: 전 세계 70%이상의 시장에 진출(2015~2017)
    - 투자 유치 및 인수 합병: 초기 투자 유치(텐센트), 경쟁사 합병 및 인수, 대규모 투자 유치(소프트뱅크)
    ○ (외부 성장요인) 중국의 경제성장 잠재력 및 모빌리티 수요 성장 잠재력, 강력한 정부 지원, 벤처투자 생태계, 중국 내 치열한 경쟁
    - 중국의 잠재력: 2024년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경제규모를 이룰 것으로 예측(WB/ IMF, 2020), 중국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 수요 급증: 440억 달러(2013) ⟶ 730억 달러(2017)
    - 정부지원: 중앙정부(국무원, 교통운수부 등)와 지방정부(베이징, 상하이, 광둥성 등)의 정책지원
    - 벤처 투자 생태계: 미국, 중국, 일본 자본의 중국 투자 활성화
    - 중국내 치열한 경쟁: 알리바바, 텐센트 등 거대기업의 지원을 받는 경쟁자들의 출현

    □ 스트라이프
    ○ (내부 성장요인) 단순하고 높은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결제시스템을 핵심기술로 하여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을 이루고, 대형 투자를 장기간 유치
    - (비즈니스 모델 혁신) ➀ 서비스 편의 향상-모바일 결제 과정 최소화, 낮은 수수료율, 다양한 통화(비트코인 포함) 지원, ➁ 기존 IT기업과의 제휴 및 협력- 애플페이/트위터와 협력, 알리페이/위챗페이와 제휴, ➂ 기술 융합을 통한 신규서비스 창출: 기존 기술(결제서비스) + 최신 기술(AI, 빅데이터) = Radar, Stripe Capital
    - (대형 투자 장기간 유치) (창업~유니콘) 4억 4천만 달러 유치, (유니콘~데카콘) 투자액 10배 증가
    ○ (외부 성장요인) 글로벌 모바일 결제 시장의 빠른 성장, 금융 산업 내 진입장벽 및 신사업 규제 완화, 대형 VC투자가 가능한 벤처 생태계
    - 핀테크 기업과 비금융 빅테크 기업 간 제휴 활발
    - 미국, 유럽, 중국 내 금융서비스 규제 완화
    - 대규모 VC투자펀드 다수 존재, CVC활성화

    □ 스페이스 X
    ○ (내부 성장요인) 저비용/고효율의 우주서비스 개발 전략, 핵심 개발인력 적극 유치, 사업영역 확장 및 사업간 연계성 등의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혁신
    - 저비용/고효율의 우주서비스 개발 전략: 발사체 재활용을 통해 로켓 개발비용 대폭 절감
    ․공공 R&D의 비효율적 요소 제거, 제품의 핵심 기능에 집중하여 설계 및 제작
    ․로켓 순 개발 비용: 스페이스 X-팰컨9(3천억 원), 우리나라-나로호(1조원), 누리호(2조원)
    - 핵심 개발인력 적극유치: NASA, 보잉, TRW(유명 항공우주업체) 등에서 전문 인력 스카우트
    - 사업영역 확장 및 사업간 연계성: 스페이스 X ’스타링크’ – 테슬라 ‘오토파일럿’– 하이퍼루프의 시너지
    ○ (외부 성장요인) 민간 중심 뉴 스페이스 시대 개막, 대기업의 전략적 투자
    - (90년대) 정부주도 ⟶ (2000년대) 정부투자 민간개발 ⟶ NASA와의 ISS 민간화물수송 계약
    - 「상업적우주발사경쟁력법(2015)」 제정
    - 구글, 피델리티 등 대기업이 ‘스타링크'프로젝트에 10달러 투자

    □ DJI
    ○ (내부 성장요인) 기술중심주의 문화 구축,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는 통합솔루션 제품 제작, 혁신클러스터 형성을 통한 비용절감 및 제품 가성비 확대, 교육용 로봇, 자율주행 시장 등 연관분야로의 진출 확대 등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통한 성장
    ○ (외부 성장요인) 글로벌 드론 수요 증가, 중국정부의 지원 정책, 정부의 기업표준 제정 허용 등
    - SNS사용 증가로 일반인의 드론 수요 높아짐
    - 드론 관련 글로벌 표준이 구축되지 않아, 자국 표준 정책을 기반으로 사업 가능

    4. 결론 및 시사점
    □ 미‧중 데카콘의 탄생과 성장의 시사점
    ○ (성장 요인) 인재, 시장⸳수요, 투자, 규제, 기술 측면에서 데카콘 기업의 성장요인 특성을 도출함
    - 인재: 본 연구의 분석 대상 기업들은 활발한 대학발/유경력 창업과 연쇄 창업을 통해 탄생하고 성장했으며, 그 과정에서 창업가의 다양한 네트워크(대학 네트워크, 기업 네트워크)가 기여
    - 시장/수요: 풍부한 내수 시장 및 성장 잠재력과 국가의 시장 조성을 통해 성장
    - 투자: 국가와 민간, 글로벌 벤처캐피탈의 대규모 투자 유치를 통해 성공적인 스케일 업을 실현
    - 규제: 창업과 신산업 진출이 용이한 개방적 규제 환경 속에서 혁신 창업 지원 정책을 통해 성장을 실현
    - 기술: 창업 초기부터 핵심 기술 역량을 확보하는데 주력했으며, 기업의 성장과 함께 지속적으로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서비스 차별성을 확보
    ○ (성장 경로) 국가별(미국, 중국), 비즈니스 시장 범위(국내, 글로벌)별로 기업별 차별적인 성장경로 존재
    - 중국의 로컬 데카콘: 중국에서 탄생 → 성장(중국 시장 독과점) → 글로벌 시장 진출 → (나스닥/홍콩 증시 상장)
    - 중국의 글로벌 데카콘: 중국에서 탄생 →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 → 국내 시장 진출 → 독립 플랫폼
    - 미국의 로컬 데카콘: 미국에서 탄생 → 미국시장 기반 성장 → (세계 시장 진출)
    - 미국의 글로벌 데카콘: 미국에서 탄생 → 글로벌 시장 지출 → 중국 진출 → 실패 → 상장

    □ 한국의 정책 방향
    ○ 성공적인 연쇄 창업가 육성과 글로벌 인재 육성
    ○ 국가 차원의 전략적인 수요 조성, 글로벌 시장과의 연계성 강화를 통한 충분한 성장 기반 구축
    ○ 신기술 기반의 비즈니스 규제 완화, 신산업 진출에 대한 규제 완화
    ○ CVC 제도 개선 및 M&A 활성화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