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명 지역 특성화 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 세종 - 시민의 일상생활과 장소인식을 중심으로 -
-
보고서명(영문) A Regional Strategy Study on Sejong - focused on Daily Life and Sense of Place for Citizens -
-
연구책임자 임유경소속기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내부연구참여자 이종민,이민경,김미현,박혜정,이세진외부연구참여자
-
발행기관 건축공간연구원공개여부 공개
-
출판년도 2019
-
페이지 149ISBN 979-11-5659-266-2
-
보고서 유형 일반연구보고서연구유형 기타
-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 국문초록
-
도시가 형성된 시기와 방법, 변천 과정, 인구와 사회 특성에 따라 도시를 연구하
는 관점과 방법은 달라진다. 세종시는 국가 정책에 따라 행정중심복합도시가 건
설되면서 2012년에 출범한 어린 도시이며,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성장한 도시가
아니라 계획에 따라 건설된 도시이다. 동시에 긴 시간동안 발전해 온 역사 도심과
새롭게 만들어진 지역이 공존하는 도시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역·도
시 연구 동향과 세종시 관련 선행연구, 사회적 논의의 흐름을 분석하여 세종시에
대한 문제의식을 파악하고 연구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행정중심복합도시가 건설되고 세종시가 출범하면서 도시계획의 내용뿐 아니라
수립 절차와 운영 방식에 있어서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졌다. 기존 논의는 행정중
심복합도시 조성을 둘러싼 갈등과 조성 과정, 새로운 실험, 지역균형 효과에 초
점이 맞춰졌으며, 시민의 삶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세종시의 도시 형성과 변
화 과정을 밝히고, 이미 33만 명을 넘어선1) 세종시민의 일상생활과 장소인식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향후 의미 있는 장소를 만드는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
구의 궁극적 목적이다. - 목차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