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인기검색어

검색
국문초록
도로 분야에서 현재 당면한 문제 중 하나로 기존에 건설된 도로 인프라의 노후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지보수 비용 증가가 있다. 이제는 개발도상국 시절의 신규 도로 인프라 건설보다 선진국과 같이 기존 도로 인프라 관리가 중요한 시점이 온 것이다. 도로 노후화를 예측할 수 있다면 문제가 심각해지기 전에 대응할 수 있어 국가 예산과 인력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예측이 가능하기 위해선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고, 이를 위한 도로의 디지털화는 도로 분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도로의 정의를 내리고 도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관점에서 도로 디지털화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 원문 참조>
목차
요 약 ⅲ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1

Ⅱ. 디지털 국가도로 현황조사 3
1. 국내 사례 3
2. 영국 사례 4

Ⅲ. 디지털 국가도로 개념 정립 5
1. 도로 디지털화 방향 설정 5
2. 디지털 도로 개념 설정 6
3. 디지털화 대상 정의 7
4. 기존사업 연계 8
5. 디지털화 수단 및 융합 9

Ⅳ. 디지털 국가도로 추진전략 마련 11
1. 디지털 국가도로 미래 비전 11
2. 디지털 도로 핵심기술 및 정책적용 방안 13
3. 디지털 도로 미래상 15
4. 디지털 도로 기반 이용자 서비스 제안 17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9
1. 결론 19
2. 정책제언 20

참고문헌 21
부 록 22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공공누리 정보

공공누리 정보 유형4
공공누리 정보 유형4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성과물 의견 등록
  •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새창)카카오 챗봇 상담
(새탭)대한민국국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 대통령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기획재정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정책브리핑(공감코리아)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정부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RISM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JOB-ALIO(공공기관채용정보박람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민권익위원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공공데이터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K-Developpedia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회도서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OINT정책정보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경제e정표 사이트 바로가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