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보고서명

북한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생태환경 정보 구축 및 변화 분석(Ⅰ)

보고서명(영문)

Establishment and Analysis of Ecological Information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North Korean Development Projects(Ⅰ)

  • 책임자 전동준
  • 소속기관한국환경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
  • 외부연구참여자
  • 발행기관 한국환경연구원
  • ISBN979-11-5980-657-5
  • 출판년도2022
  • 페이지94
  • 보고서유형 일반연구보고서
  • 연구유형 정책
  • 표준분류 환경 > 환경일반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북한 자연환경, 북한 산림, 북한 생물 서식지, 북한 토지피복, InVEST Model
  •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1.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본 연구의 목적
    ㅇ북한 지역에서 남북한 공동 추진 개발사업이 추진될 경우를 대비하여 사전에 북한 지역의 자연환경 관련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제한된 정보에 위성영상 분석 및 모델링 기법 등을 활용하여 개발사업 추진 전 환경영향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제공하고자 함

    2. 연구 범위와 내용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북한의 자연환경 관련 자료를 수집·분석하였으며, 자연환경 현황과 각 지자체별 변화 정도를 공간정보화하고 시각화
    ㅇ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토지피복 변화 분석을 위해 환경부 국토환경정보센터 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대분류 토지피복도를 활용
    ㅇ토지피복에 대한 시나리오 분석은 InVEST Scenario Generator Model(3.8.0)을 활용하여 예측하였으며, 생물 서식지의 질적 분석(Habitat Quality Analysis)은 InVEST Habitat Quality Model(3.8.0)을 활용하여 분석

    Ⅱ. 북한 지역 생태계 시대별 변화 분석
    1.북한 산림생태계 변화 분석
    ❏대분류 토지피복도상 1988년 전후 북한의 산림은 91,936km2 정도로 확인되었으나, 2019년 전후 산림 면적은 85,345km2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어 약 30년 동안 7.2%의 면적이 감소
    ㅇ대분류 토지피복도에서 나타난 북한 전체 면적 대비 산림지역이 차지하는 정도는 1988년 전후 약 75%에서 2019년 전후 70% 정도로 분석
    ㅇ북한 산림지역의 면적이 절대적으로 축소되었음이 확인되었음

    ❏과거 대비 산림 면적이 크게 감소한 행정구역의 분포를 보면 대부분이 평안북도, 평안남도, 황해북도, 황해남도의 서부지역과 경제개발구, 관광개발구 등 개발 압력이 높은 지역임
    ㅇ산림지역이 절대면적 기준으로 가장 크게 감소한 행정구역은 회령시로 약 202km2 이상의 산림지역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음
    ㅇ산림지역의 절대면적 감소가 상대적으로 큰 행정구역들은 대부분 함경북도, 량강도, 자강도에 집중되어 있음

    ❏산림지역과 농업지역 간 면적 변화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음
    ㅇ각 행정구역별로 나타난 산림지역의 면적 증감과 농업지역 면적의 증감 사이에는 상관성이 매우 높음. 농지로의 전용을 위해 산림을 개발하여 산림이 훼손되고 황폐해졌다는 기존의 분석들이 합리적이었다고 판단됨

    2. 주요 생물종의 서식 분포 분석
    ❏본 연구에서는 멸종위기 양서류 2종에 대해 남한 지역에서 확인된 서식 지역의 정보를 토대로 종분포모델을 통해 북한 지역의 잠재 서식지를 분석하였음
    ㅇ북한 지역의 생물다양성에 관한 정보가 매우 적은 상태에서 주요 생물종의 분포 지역을 모델을 통해 유추함으로써 향후 개발사업이 남북한 공동으로 추진될 경우 개발계획 수립, 조사 및 분석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됨

    3. 북한 생물 서식지 질적 변화 분석
    ❏InVEST Habitat Quality Analysis 모델을 활용하여 북한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적 정도를 공간정보화하였음
    ㅇ북한 지역 생물 서식지의 변화 요소로 산림지역의 면적 축소가 가장 큰 요인인 것으로 판단
    ㅇ생물 서식지 질 평가 분석에서 도출된 결괏값을 균등하게 5개로 등급화하고 이를 공간적으로 표시하여 적합성을 지도에 시각화하였음

    4. 북한 주요 자연환경 현황
    ❏북한 지역에서 알려진 바로는 포유류는 107종, 조류 416종, 양서류 17종, 파충류 26종, 어류 865종 등이 기록되어 있음. 식물의 경우 약 9,000종이 알려져 있으며, 이 중 고등식물 약 3,900종, 그리고 유관속식물 약 3,200종이 기록되어 있음
    ㅇ북한은 자연환경 중 보호지역 및 보호종은 크게 천연기념물, 명승지 및 자연보호구역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음

    Ⅲ. 북한 시대별 토지 이용 변화 분석 및 예측
    1. 북한 토지피복 변화 분석
    ❏북한 시가화지역의 증감률과 절대면적 감소의 관계를 분석
    ㅇ절대면적이나 증감률 측면에서 모두 감소한 지역은 평안북도에 속하는 행정구역들이 많았음
    ㅇ시가화지역 면적 증가율이나 절대면적이 증가한 행정구역들은 주로 자강도와 량강도 등의 경제 또는 관광특구로 지정된 지역들과 큰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
    ㅇ자강도와 약강도에 속하며 시가화지역의 면적 증가율이 큰 행정구역들의 증가 정도가 이전과 비교하여 매우 큰 것으로 보아 북한 당국의 적극적인 경제개발과 도시개발이 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2. 북한 토지피복 미래 변화 시나리오
    ❏북한 대분류 토지피복 미래 변화를 예측한 결과 서부 지역에서 산림지역의 감소와 반비례하여 농업지역이 확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음
    ㅇ또한 자강도 만포시를 중심으로 한 지역, 강원도와 함경남도 경계부의 원산과 문천을 중심으로 한 지역, 경북도 북측 중국과 러시아와의 국경지역인 회령, 온성, 새별(경원) 등에서 농업지역 확대가 나타났음

    3. 토지피복 미래 변화에 따른 생물 서식지 변화 예측
    ❏북한 지역 생태계의 미래 생물 서식지 질을 예측하고 등급화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였음
    ㅇ질적으로 가장 우수한 생물 서식지인 5등급 지역은 대부분 산림지역에 해당하며, 북한의 산악지형 특성과 공간적으로 일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ㅇ북한 지역 내 백두대간의 경우 남한 지역과 다르게 생태계 연결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여, 남한 지역에서 멸절된 대형 포유류의 서식 또는 서식 가능성이 높음
    ㅇ통일 이후 한반도 차원에서 멸종된 생물종이나 멸종위기종을 복원·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한 공간적 유용성과 적합성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됨
    ㅇ그러나 산림지역으로 분류되는 공간이라고 하더라도 산림의 건강성이나 생물 서식지로서의 공급 서비스가 양호한가에 대한 판단은 또 다른 분석과 검증이 필요함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남북한 공동추진 개발사업이 진행될 경우 각 행정구역별로 토지피복의 변화와 현안들을 선제적으로 파악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지속가능 발전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하는 자료로 유용성이 높다고 판단됨
    ㅇ현재 북한 지역의 토지피복 유형별 특성을 단위면적별로 공간정보화하여 구축하였으며, 이러한 공간정보는 향후 환경계획을 수립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됨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