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보고서명

북한 산림복구 우선지역 선정을 위한 모델링 적용성 평가 사전적 연구

보고서명(영문)

For the selection of priority areas for forest restoration in North Korea Preliminary study of modeling applicability evaluation

  • 책임자 장원석
  • 소속기관한국환경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강택구
  • 외부연구참여자박윤식,김원국
  • 발행기관 한국환경연구원
  • ISBN979-11-5980-659-9
  • 출판년도2022
  • 페이지103
  • 보고서유형 일반연구보고서
  • 연구유형 정책
  • 표준분류 환경 > 환경일반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산림황폐화, 토양침식, 토양 퇴적, 산림복구 우선지역, 앙상블 모델링
  •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북한의 산림황폐화에 따른 자연재해(산사태, 홍수 등)가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식량·물 부족 등의 현상까지 확대
    ㅇ매년 발생하는 자연재해로 개인적으로는 인명 및 재산피해, 국가적으로는 기반시설물 파괴 및 식량난 등을 야기
    ㅇ집중호우 시 산림황폐화로 인한 대규모 토양유실이 발행하고, 유실된 토양의 하류 이동으로 인해 하천범람 및 농경지 매몰 등의 추가 피해가 발생

    ❏본 연구 목적은 북한지역 산림황폐화에 따른 홍수, 산사태 등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산림복구 우선지역을 선정하기 위하여 토양침식·퇴적 모델링 적용성 평가를 시범적으로 수행하는 것

    ❏주요 연구 내용
    ㅇ북한의 자연재해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북한지역 토양침식 및 퇴적 모델링 적용성 평가를 위한 연구 대상지역을 선정함
    ㅇ산림복구 우선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토양 및 침식 퇴적 모델링에서 사용할 북한지역 토지피복 위성데이터의 활용 타당성을 분석함
    ㅇ토양침식 및 퇴적 모델링 입력자료(수치표고모형, 토지피복도, 토양도, 기상데이터 등)를 구축하여 6개(SWAT, SSEM, USLE, USPED, nLS, STI)의 토양침식 및 퇴적 모형을 활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앙상블 결과를 통해 산림복구 우선지역을 선정함

    Ⅱ. 북한의 자연재해 연구조사
    1. 북한의 자연재해 현황
    ❏북한의 연강수량은 대체로 감소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집중호우의 발생 빈도는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임
    ㅇ1980년대에는 강수량이 주로 7월과 8월에 집중하였으나 1980년대 이후에는 대부분 6월에서 9월 사이에 집중하는 경향
    ㅇ1980년에서 2008년까지 경제적 피해가 컸던 북한 내 자연재해 10개 사례 중 6개가 홍수, 4개 사례가 태풍이며 모두 1990년대 이후에 발생

    Ⅲ. 북한지역 토지피복 위성데이터 전처리 및 데이터 정확성 검증
    1. 북한지역의 위성영상 기반 토지피복도 자료의 활용 타당성 분석
    ❏토지피복(land cover)은 토지의 표면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의 종류를 일컫는 말로 그 분류범주(category)는 목적에 맞게 설정할 수 있음
    ㅇ토지피복은 주로 물질의 종류에 따른 분류로, 인간 활동에 초점을 맞춘 토지이용(land use)과는 차별적으로 사용되며 이 두 가지를 묶어서 Land Use & Land Cover(LULC)라고 칭함
    ㅇ토지피복에 주로 사용되는 인공위성은 무료로 전 지구 자료가 공개되어 있는 Landsat series 또는 Sentinel series이며 1972년에 처음 발사된 Landsat-1으로부터 이어지는 Landsat series의 장기자료는 과거 토지피복의 변화를 분석하거나 장기 변화를 연구하기 위한 유일한 자료라고 할 수 있음
    -안정적인 운영이 시작된 Landsat-4부터는 30-m의 공간해상도를 유지해오고 있으며 토지피복 제작에 있어서 Landsat series의 한계는 조금은 길다고 할 수 있는 16일의 재방문 주기
    -하지만 이는 기상조건이 문제가 없을 경우이므로, 구름이 해당 위치를 가리게 되면 다시 16일을 기다려야 함
    ㅇ지구관측 위성은 Sentinel-2 series이며 Sentinel-2 series는 2015년에 발사된 Sentinel-2A와 잇따라 2017년에 발사된 쌍둥이 위성 Sentinel-2B로 구성되어 있음
    -각각의 재방문주기는 10일이지만, 두 위성이 같은 간격으로 교차해서 방문하도록 궤도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5일마다 Sentinel 자료를 획득할 수 있음
    -공간해상도는 주요 가시광선 밴드는 10m, 그 외의 밴드는 20m로 Landsat보다 1.5배 또는 3배가량 우수하다고 볼 수 있으며 공간 및 시간해상도의 우수성으로 인하여 2015년 이후에는 Sentinel series를 이용한 토지피복도 제작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ㅇESRI에서 제작한 전 지구 단위 토지피복도는 Sentinel-2 위성에 기반하였기 때문에 10m 해상도를 가지고 있음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매해의 자료가 공개되어 있으며 Landsat 자료와 마찬가지로 UTM좌표계로 제공
    -물, 나무, 초목, 침수초목, 경작지, 관목, 개발지, 나지, 눈/얼음, 구름, 초지의 11개 분류범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본 연구를 위한 토지피복 자료로 적합하다고 판단됨

    2. 환경부 제공 토지피복도의 위성기반 토지피복도 대비 활용 타당성 분석
    ㅇ환경부 토지피복도는 입력자료로 위성영상뿐만 아니라 항공정사영상 및 기타 다수의 기구축된 공간정보자료를 이용하여 토지피복도를 생산하고 있음
    -위성영상으로는 1m급 해상도를 가지는 아리랑 영상을 확보하여 입력자료로 사용하게 되고 25cm 해상도를 가지는 정사영상을 같이 촬영하고 있음
    -2021년 기준 토지피복도의 경우, 아리랑 영상은 2020년에 확보된 1만 769도엽을 사용하였고, 정사영상의 경우 2020년과 2021년 자료(총 1만 7,705도엽)를 같이 활용하였음
    ㅇ기존 환경분석 목적의 광역 토지피복도와는 다른 시가 및 도심지역 세분류 항목까지 식별해야 되다 보니, 다양한 기존 공간정보 자료가 입력으로 사용되고 있음
    -2021년 사업에서 자동화가 상당 부분 진행되었다고는 하나 정확도가 90%에 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많은 개체의 수작업, 육안확인이 뒤따라 수행되고 있으며 최종 산출물의 정확도는 97%로 보고되고 있음
    ㅇ환경부 토지피복도는 상기 소개한 Global Land Cover 지도보다 중분류, 세분류가 잘 분류되어 있어 세밀한 수문변수 설정 및 분석이 가능하여 환경부 토지피복이 홍수 및 유출계수 관련 연구에 활용되는 사례는 많음

    Ⅳ. 북한지역 토양침식 및 퇴적 모델링 적용성 평가
    1. 토양침식 및 퇴적 모델링 입력자료
    ㅇ토양침식 및 퇴적 모델링을 위한 입력자료로 수치표고모형, 토지피복도, 토양도, 기상자료를 이용하였음
    ㅇ수치표고모형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프로젝트는 미국 항공우주국과 미국 국립지리정보국이 공동으로 수행한 전 지구적 지형관측연구로 2000년 2월, 11일간의 탐사를 통해 전 지구 육지표면의 약 80%에 해당하는 양의 수치표고모형(DEM: Digital Elevation Model) 자료를 확보하였음
    -SRTM DEM 자료는 동일한 정밀도로 전 세계 대부분 지역의 지형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지형 및 표고 특성 파악이 가능하여 수리해석 및 홍수유출 해석 등 다양한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음
    -본 연구에서는 USGS Earth Explorer(https://earthexplorer.usgs.gov/)에서 제공하는 SRTM 1 arc second(30m 격자) DEM 자료를 활용하여 북한 전역에 대한 지형자료를 구축하였음
    ㅇ토지피복도
    -Sentinel-2 위성은 2015년에 발사된 2A와 2017년에 발사된 2B로 구성된 다중분광 위성으로 농업 및 식량자원 관리에 필요한 식생 및 산림 정보뿐만 아니라 홍수, 화산 분출, 산사태와 같은 자연재해 정보와 토지피복 변화 탐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음
    -Sentinel-2 위성영상 자료는 13개의 다양한 밴드와 Landsat 위성영상 자료에 비해 높은 공간해상력(컬러 10m)과 높은 시간해상도(5일)를 가지고 있어 토지피복 분류와 관련된 연구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음
    -유럽우주국 ESA의 Copernicus에서 제공하는 ‘The Sentinel-2 Global Mosaic Service’ 플랫폼으로부터 수집된 2020년 북한 전역에 대한 Sentinel-2 위성영상 자료(10m 격자)를 30m 격자로 재생성하여 대분류 토지피복 자료를 구축하였음
    ㅇ토양도
    -북한지역에 대한 현지조사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분석에서는 한국임업진흥원(2015)을 통해 구축된 북한 산림분류 토양도와 지질자원연구원의 남한 수치지질도(1:250,000), 국립산림과학원(2005), 농업과학기술원의 남한 개략토양도(1:50,000) 자료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북한의 토양도 자료를 구축하였음
    -북한의 산림토양에 따른 지질형은 산림토양단면도집에 기술된 남한의 산림토양별 대표 지질형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고, 남한의 산림토양별 현장조사 지점이 위치한 지역의 지질과 개략토양도 특성을 기준으로 북한의 산림토양에 따른 대표 토양 특성을 간접적으로 추정하였음
    -실제 토양 특성은 기후, 지형, 암석 모재, 식생 등 복합적인 인자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남한의 지질 및 토양 특성만으로 추정된 북한 전역에 대한 토양은 실제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북한 토양도 자료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구축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ㅇ기상자료
    -북한 전역에 위치한 27개 관측지점에 대한 기상자료는 세계기상기구 기상통신망에서 제공된 관측 자료를 사용하였음
    -기상자료 수집 항목은 일단위 강수량, 기온(최저, 최고), 습도, 풍속으로 2020년에 관측된 자료를 토양유실 모델링 분석에 필요한 기상 입력자료로 사용하였음

    2. 다양한 모형을 활용한 토양침식 및 퇴적 앙상블 모델링
    ㅇ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6개(SWAT, SSEM, USLE, USPED, nLS, STI)의 토양침식 및 퇴적 모형을 활용하였음. 각 모형의 개요 및 모델링 결과는 아래와 같음
    ㅇSWAT 모형의 개요 및 결과
    -SWAT 모형은 미국 농무성(USDA) 농업연구소에 의해 개발된 강우-유출 모델로 다양한 토양 및 토지이용 등의 특성에 따른 유역의 물, 유사 및 화학물질 등의 거동 예측이 가능함
    -SWAT 모형은 수정범용토양유실공식(MUSLE: Modifi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을 통해 강우와 유출에 의한 토양유실량을 계산하며, 최적관리기법(BMPs: Best Management Practices) 적용에 의한 토양유실량 및 영양물질의 저감 효율 평가가 가능함
    -토지피복별 총 토양유실 발생량은 나지(AGRC) 783.73ton/year, 밭(AGRR) 3,957.26ton/year, 도시(URMD) 45.85ton/year, 산림(FRST) 3,929.24ton/year, 초지(PAST) 2.88ton/year로 밭에서 가장 많은 토양이 유실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위면적 기준으로는 초지, 밭, 나지, 도시, 산림 순으로 발생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음
    ㅇSSEM 모형의 개요 및 결과
    -SSEM(Surface Soil Erosion Model)은 물리기반 침식-유사유출 모형으로 강우가 발생하였을 때 강우와 지표 흐름에 의한 침식과 유사이송(sediment transport)에 대한 물리적 메커니즘을 반영하며, 본 모형은 분포형 모형으로 침식과 퇴적에 관한 공간정보를 제공함
    -SSEM 모형은 침식과 퇴적의 모의를 위해 각 격자에서의 유사이송능력과 해당 격자로 유입되는 유사량을 비교하여 침식과 퇴적이 결정되며, 상류 격자로부터 유입된 유사량이 유사이송능력보다 작으면 그 차이만큼 토양이 침식되고, 유사량이 유사이송능력을 초과하면 그 차이만큼 해당 격자에 토양이 퇴적됨
    -SSEM 모형에 의한 2017~2020년의 토양침식 및 퇴적 모의 결과, 4개년 모두 퇴적보다는 침식이 우세하게 발생하였으며, 유역 내 순 침식량은 2020년에 6,387.6m3로 침식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침식이 가장 적게 발생하는 해는 2019년으로 552.3m3으로 나타났음
    ㅇUSLE 기반 모형의 개요 및 결과
    -USLE(Universal Soil Loss Equation)는 장기간에 대한 연평균 토양유실 발생 가능성을 추정하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경험적인 모형으로, 토양유실 발생 가능성 추정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강우침식능변수(R factor: Rainfall erosivity factor), 토양침식성변수(K factor: Soil erodibility factor), 지형변수(LS factor: Slope length and slope steepness factor), 지표피복변수(C factor: Crop and cover management factor), 보전관리변수(P factor: Conservation practice factor)를 필요로 함
    -USLE 모형에 의한 토양유실 발생 가능성 추정치는 대상유역에서 최대 1,194Mg/ha/year였고 평균은 66Mg/ha/year였으며, 유역에서 상류 지역에서 토양유실 발생 가능성이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음
    -USPED 모형에 의한 토양침식 및 퇴적량은 대상유역에서 15,508Mg/ha/year~12,957Mg/ha/year였고 평균은 123Mg/ha/year였으며, USLE 모형은 상류 지역에서 토양유실 발생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측했던 것과는 다르게 주로 하천의 형상을 따라서 침식(음수) 및 퇴적(양수)이 큰 것으로 예측되었음
    -nLS 모형으로 모의했을 때 협곡침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점들은 주로 하천의 형상과 유사하게 분포되었음. STI는 대상유역에서 0에서 1,185의 범위를 보였으며, 하천의 본류 위치에서 작은 값을 보였으며 유역의 상류를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큰 값들이 분포되었음

    Ⅴ. 결론 및 제언
    ❏현재 남북한이 겪고 있는 환경적, 경제적 등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북한의 황폐화된 산림 복구를 통해 남한은 탄소중립을 위한 추가적인 탄소흡수원을 확보하고, 북한은 매년 발생하는 자연재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
    ㅇ북한 전 지역에 걸친 산림황폐화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연재해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산림을 복구해야 하는 지역을 선정하는 등 체계적인 복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됨

    ❏본 연구에서 산림황폐화에 따른 홍수, 산사태 등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산림복구 우선지역을 선정하기 위하여 토양침식·퇴적 모델링 적용성 평가를 시범적으로 수행하였음
    ㅇ상기한 연구목적을 위해 북한의 자연재해, 북한지역의 토지피복 위성데이터 전처리 및 데이터 정확성, 북한지역 토양침식 및 퇴적 모델링 적용성 평가 등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
    ㅇ북한지역 토양침식 및 퇴적 모델링 적용성 평가를 위해 SWAT, SSEM, USLE, USPED, nLS, STI 등 다양한 침식 및 퇴적 모형을 활용하였음

    ❏분석 결과의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 산림복원 우선지역을 선정할 수 있지만 각각의 모형 및 방법들에 대한 정확성 또는 우수성 등을 판단하기는 어려움
    ㅇ본 연구에서 이용된 토양침식 및 퇴적을 예측하는 모형 및 방법은 요구되는 자료의 종류나 연산 방법 또는 예측에 내재된 가정 등이 다르며, 예측하는 토양침식의 종류(퇴적/침식, 세류/면상/협곡 침식 등) 역시 다르기 때문임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과 같이 다수의 모형 등을 활용한 앙상블 형식의 접근 방법으로 과적합 결과를 완화
    ㅇ토양침식 및 퇴적을 판단하기 위해서 하나의 모형에 의존할 경우에는 과적합(overfitting) 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 여지가 있어 앙상블 형식의 접근 방법을 통해 결과의 객관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다양한 유역 조건과 침식 종류 등이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ㅇ토양침식 및 퇴적 등을 고려한 산림복구 우선지역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IPCC에서 제공하는 CMIP6 등과 같은 기후변화 시나리오 모형을 적용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대한 산림복구 우선지역 선정 등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