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명 지역밀착형 생활SOC 정책을 위한 복합결핍지수 개발 및 활용 방안
-
보고서명(영문)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Multiple Deprivation Index for Place-based Living Facilities Policy
-
연구책임자 임은선소속기관 국토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 이영주,이보경,장요한,손재선외부연구참여자 이경주,이평직,정병화,최형관
-
발행기관 국토연구원공개여부 공개
-
출판년도 2021
-
페이지 166ISBN 979-11-5898-631-5
-
보고서 유형 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연구유형 정책
-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 국문초록
-
- 포용국가 실현을 위해 지역의 여건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적재적소에 생활SOC 시설을 확충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복합결핍지수(KIMD,Korean Multiple Deprivation Index)를 개발
- KIMD란 모든 국민이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영역에 대한 결핍 정도를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지역 여건의 차이를 상대적으로 측정한 지수로 3단계로 구성하여 시범 개발함
• 복합결핍지수(MDI): 소득, 고용, 교육, 주거, 건강, 생활환경, 안전의 7대 영역 진단
• 생활SOC 결핍지수(LDI) : 생활환경을 대상으로 건강, 보육, 교육, 안전, 여가시설의 수요-공급 진단
• 시설별 공간결핍지수(SDI) : 인구분포와 시설거리를 반영한 시설의 공급 사각지대 시뮬레이션
- 복합결핍도 MDI 상위 10%의 가장 양호지역은 서초, 의왕, 세종 등 도시지역 비중이 높고, 하위 10% 가장 결핍된 지역은 강원, 경북, 충남 등 농촌지역과 일부 광역시 원도심 지역으로, LDI와 SDI를 활용하여 생활SOC 우선 지원이 필요한 지역을 판단하는 등 대응 필요 - 목차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