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인기검색어

검색
국문초록
1. 차별 실태조사 결과분석
차별실태조사는 장애인 1,000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차별에 대한 의견, 교육, 고용, 이동권, 건강, 문화향유, 소비자권리, 가족생활, 참정권 등에 대하여 조사되었으며, 장애유형별 성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있다고 느끼는지에 대해 장애인에게 물어본 결과, 전체 응답자의 91.8%(‘많다’+‘매우 많다’)가 장애인 차별이 있다고 응답하여, 장애인들은 우리나라에서 장애인 차별이 매우 널리 행해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정신적 장애의 경우 우리나라에 장애차별이 ‘매우 많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장애인 차별에 대한 느낌 정도에 있어 성별로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전체 장애인의 78.9%가 차별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시각장애인이 85.3%로 차별경험이 가장 많았고, 내부장애인이 63.5%로 차별경험이 가장 적었다. 성별로는 남자의 차별경험이 80.0%로 여자보다 약간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교육, 고용, 이동권, 건강, 문화향유, 소비자권리, 가족생활, 참정권에 있어서의 차별경험 정도를 비교해보면, 차별경험(‘자주’+‘가끔 차별을 받는다)은 고용이 65.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 58.5%, 이동권 58.1%, 문화향유55.6%, 소비자권리 54.9%, 건강 50.8%, 가족생활 40.2%, 참정권 39.5%의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은 고용부문에서 특히 차별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고용은 장애인의 자립과 결부되어 있으므로 고용부문의 차별해소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
차별영역별로 차별대응양식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차별대응양식을 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족생활에서 차별을 받았을 때 ‘참는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고, 교육, 고용, 이동권, 건강, 문화향유, 소비자권리영역에서는 ‘그 자리에서 항의한다’라는 대응양식이 많았다. ‘그 자리에서 항의한다’와 ‘고발 등의 조치를 취한다’를 차별에 대한 적극적 대응방식으로 본다면, 소비자권리(63.3%), 참정권(63.1%), 건강(59.3%), 문화향유(56.0%), 이동권(54.7%), 교육(53.1%), 고용(48.6%), 가족생활(39.4%)의 순이었다. 소비자권리와 참정권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용과 가족생활에 있어서는 소극적인 대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영역에 있어서는 차별에 대해 항의 고발할 경우 더 큰 피해를 입을 것을 우려하여 소극적인 대응방식일 수밖에 없는 것으로 추측되며, 가족생활에 있어서도 가족내부의 안정을 위하여 장애인 당사자가 차별에 대해 참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국가인권위원회와 NGO를 비교해보면, 이용률은 NGO(19.1%)가 국가인권위원회보다 7.6% 포인트 높고, 만족도(매우 만족+만족)도 NGO(51.6%)가 국가인권위원회보다 3.3% 포인트 높았다. 국가기관인 국가인권위원회가 민간기관보다 이용률과 만족도가 낮은 것은 국가인권위원회가 장애차별만을 다루고 있지 않고 여러 영역과 다양한 차원의 차별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즉, 국가인권위원회에는 장애차별만을 전담하는 부서 혹은 직원이 없고 이에 대한 관심이 아직은 부족한 만큼, 앞으로 장애차별 시정을위한 전담 부서가 설치되어야 하며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장애인에게 다가갈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국가가 차별해소를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사회적 관심과 인식개선’이 36.2%, ‘법 제도 개선 및 마련’이 25.0%, ‘경제적 지원’이 18.8%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 살펴보면, 내부장애인은 ‘경제적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지적하였고, 시각장애와 정신적 장애는 ‘사회적 관심과 인식개선’이 가장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법 제도개선 마련은 시각장애인이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차별해소를 위한 시책의 예산확대’를 많이 지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2. 여성장애인 사례분석
여성장애인의 사례분석 결과, 여성장애인은 여러 영역에서 남성장애인에 비해 더욱 열악한 상태에 있으며, 장애인이면서 여성이라는 이중적인 차별상태에 있었다. 각 영역별로 살펴보면, 여성장애인의 대부분은 교육받을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의 미비, 인적지원 부족, 공 사적 지원체계의 부족 등으로교육기회를 박탈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취업영역에서는 여성장애인이 안정된 직업을 가지기를 희망하고 있지만, 사업장의 편의시설 부족, 본인의 직업교육 및 직업능력 부족, 장애인의 능력에 대한 인식부족 등으로 인해 취업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결혼영역에서는 여성장애인이 여성적 역할을수행해내기 어렵다는 부정적 인식에 의해 결혼생활에서 차별을 받고 있으며,여성장애인 자신도 자신의 역할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감을 가지고 있어 결혼 자체를 스스로 포기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출산 양육과 관련해서 사회적 지원체계가 거의 제공되지 않는 상황에서, 그리고 어머니로서의 권리가 인정되지 않는 상황에서 출산 양육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가족내에서의 차별로 심리적 상처를 많이 받게 되고, 다른 가족구성원의 눈치를 보게 되며, 자기자신 보다는 상대의 입장만 고려하게 되는 소극적인 자세를 가지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해소방안으로는 접근권 및 이동권 확보를 위한 편의시설 설치, 전국적인 장애인 콜택시제도 시행, 도우미 지원(학습도우미, 가정도우미 등), 지속적인 장애인 인식개선운동의시행, 장애수당 현실화, 직업재활 활성화, 수화통역사 지원 등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장애인 차별 실태조사와 사례조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장애인에 대한차별은 고용, 교육, 가정생활, 교통 및 편의시설, 문화 등 장애인 삶의 전 영역에 걸쳐 전 생애에서 발생하고 있으므로 차별해소 대책 역시 전 영역을 포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차별의 원인 가운데에는 잘못된 사회인식(편견)이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러한 인식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하 원문 확인>
목차
목차
요약 /1

Ⅰ. 서론 /8
1. 연구의필요성및배경 /9
2. 연구의목적및내용 /11
3. 연구방법 /12
가 문헌연구 /13
나 2차차료분석 /13
다 실태조사 /14
라 사례조사 /16
마 외국의모범정책사례분석 /18
바 정책간담회 /18

Ⅱ. 이론고찰및선행연구검토 /20
1. 장애의개념 /21
가 장애개념의국제적인변화추세 /21
나 우리나라의장애개념 /23
다 장애와인권 /24
2. 차별의개념 원인 종류 /25
가 차별의개념 /25
나 차별의원인 /26
다 차별의종류 /28
3. 차별관련이론 /30
가 장애차별이론 /30
나 여성장애차별이론 /32
4. 선행연구의검토 /34
가 장애인차별전반 /35
나 교육에서의장애인차별 /36
다 고용에서의장애인차별 /36
라 소비자권리에서의장애인차별 /37
마 여 성장애인의차별 /37

Ⅲ. 장애관련법의차별금지와적극적조치 /41
1. 장애관련법에서의차별금지조항검토 /42
가 장애인복지법기본법 /42
나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법 /43
다 특수교육진흥법 /43
라 장 애인 노인 임산부등의편의증진보장에관한법률 /44
2. 적극적조치Affirmative Action)와장애차별금지법 /45

Ⅳ. 외국의장애인차별금지정책 /49
1. 미국 /50
2. 호주 /53
3. 영국 /55
4. 독일 /57
5. 일본 /60
6. 시사점 /63

Ⅴ. 장애차별실태현황분석 /65
1. 2000년 도장애인실태조사재분석 /66
가 교육 /66
나 고용 /67
다 이동권 /68
라 정보접근권 /69
마 건강 /70
바 문화향유 /70
사 경제적측면 /72
아 생활만족도 /73
자 영역별사회적차별정도 /74
차 여성장애인의이중차별 /78
2. 장애차별실태조사결과분석 /78
가 일반적특성 /78
나 장애인차별에대한의견 /89
다 교육 /93
라 고용 /97
마 이동권 /106
바 건강 /111
사 문화향유 /113
아 소비자권리 /117
자 가족생활 /120
차 참정권 /124
카 영역별차별정도및대응양식비교 /126
타 차별시정기구에대한의견 /128
파 차별해소를위한국가의역할 /132
3. 여성장애인사례분석 /134
가 사례조사대상여성장애의일반적특성 /135
나 여성장애인의영역별차별사례내용 /136
다 여성장애인의영역별차별사례분석 /173

Ⅵ. 결론및정책건의 /176
1. 결론 /177
2. 정책건의 /178
가 장애인차별금지법의제정 /178
나 각영역별장애인차별금지과제 /180
다. 장애인식개선 /184
라 장애인자립생활지원 /185
참고문헌 /186

부록. 장애인차별실태조사설문지 /188
부록. 여성장애인차별실태면접조사지표 /203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성과물 의견 등록
  •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새창)카카오 챗봇 상담
(새탭)대한민국국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 대통령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기획재정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정책브리핑(공감코리아)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정부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RISM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JOB-ALIO(공공기관채용정보박람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민권익위원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공공데이터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K-Developpedia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회도서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OINT정책정보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경제e정표 사이트 바로가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