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구동향
연구보고서
신한류의 혁신원천 분석: K-뷰티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NKIS 정보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이용 시,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NKIS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NKIS 정보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이용 시,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NKIS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국문초록
- 1. 서론
○ 화장품 산업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근본적인 욕구에 바탕하고 있는 산업으로 필수 소비재 성격이 강하고 경기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낮으며 신흥국의 소득증가 및 고령화 추세에 따라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고성장이 전망
○ 본 연구는 국가 경제의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화장품 산업에 대해 혁신 관점으로 지금까지의 성공을 이끌어온 혁신원천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함
○ 연구 질문은 ① 한국 화장품 산업의 혁신원천, ② 혁신원천의 지속가능성 및 ③ 한국 화장품 산업 혁신원천의 생성과 전환을 저해하는 요소 파악 등으로 구성됨
구분
세부내용
한국 화장품 산업의
혁신원천은 무엇인가?
혁신원천은 누구에 의해 생성되고 생성되는 계기는 무엇인가?
산업 성장 stage별로 혁신원천의 생성 및 혁신자원으로의 전환에서 어떤 변화가 있고, 한국기업은 이를 어떻게 달성하였는가?
기업(생산, 유통, 판매 등)은 혁신원천을 내/외부적으로 어떻게 조달하는가?
혁신원천은 지속가능한가?
혁신원천이 지속가능하다면 더 강화할 방안은 무엇인가?
혁신원천이 지속가능하지 못하다면 보완 및 대책은 무엇인가?
한국 화장품 산업에서 혁신원천의 생성과 전환을 저해하는 요소가 있는가?
<표 1> 연구 질문
○ 연구의 구성은 제2장에서 K-뷰티의 이해와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혁신원천을 파악하기 위해 제3장 혁신시스템 분석, 제4장 특허분석 및 제5장 해외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제6장에서 혁신원천을 제시하고 제7장에서 결론 및 정책방안을 제언함
[그림 ] 연구의 구성
2. K-뷰티의 이해와 이론적 틀
□ 화장품 산업의 이해
○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바르고 문지르거나 뿌리는 등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품”
○ (특성) 화장품 산업은 기본적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근본적인 욕구에 바탕하고 있는 산업으로 신흥국의 소득증가 및 고령화 추세에 따라 고성장 전망
○ (구성) 화장품 산업은 다양한 과학적 이론과 기술을 기반으로 원료를 제공하는 후방산업과 판매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방산업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산업과 연계되어 고용유발 계수가 높음
□ 화장품 산업 분석을 위한 선행 연구
○ 국내의 화장품 산업 연구는 거시적인 산업 구조나 성장을 산업 시스템 안에서 분석하는 연구보다 주로 소비자구매행태, 선호브랜드 등 마케팅 전략 활용을 위한 연구 등에 치중
○ (연구의 필요성) 화장품 산업 발전의 이해를 위해서는 산업 내 혁신 활동과 이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혁신 주체와 관계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고 화장품 산업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는 요소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
○ (성장요인 선행연구) 제품의 독창성과 품질, 기술적 차별성(박성노·정중재·김용정, 2015; 정도윤·엄기용, 2019), 엄격한 품질관리와 제품전략, 연구개발능력 (김귀옥·배정한, 2008), 일부 원재료의 국산화를 통한 원천생산기술력(임기호, 2017), 마케팅 능력(서성한·조서환, 2000) 등
○ (혁신성 선행연구) 화장품 신소재, 신물질 연구 개발과 피부 노화 방지(한충민, 1999), 고기능성, 고급화를 추구하면서 화장품 제조가격 인하, 화장품 용기 제조 고급화에 따른 용기개발, 설계,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함께 증가, 브랜드숍 출현 (윤회선·김홍배, 2009), 맞춤형 화장품에 따른 혁신 사례 연구, 화장품 브랜드화 전략 연구 등
○ (행위자 선행연구) 시기별 유통경로 변화와 경쟁구도 조망(이종태·김상덕·송영욱, 2009), 화장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 프로세스를 지역에 축적되는 ‘관계적 자산’으로 설명(이경진, 2013), 국내 화장품산업 밸류체인 내 행위자 유형 분류(윤한술, 2017), 행위자 현황 및 특성 비교, 화장품 산업 발전경로 내 행위자 변화(정선주, 2019) 등
□ 화장품 산업 분석을 위한 이론 고찰
○ (산업혁신시스템) K-뷰티의 혁신원천을 분석하기 위해 산업혁신시스템(SIS) 이론을 분석의 틀로 사용하고자 함
- 산업혁신시스템의 핵심적 내용은 혁신의 양상은 산업 간 매우 상이하게 나타나며 한 국가 내에서 다른 산업 간 혁신의 주체, 원천, 제도, 정책 등을 비교할 때도 큰 차이를 보이게 됨(Malerba, 2004)
- 산업혁신시스템의 기본 구성요소는 지식과 기술, 행위자, 제도 및 시장수요 등으로 구분되며 본 연구의 이론적 틀로 사용하고자 함
[그림 ] 산업혁신시스템 구성요소
○ (혁신원천) 혁신원천(source of innovation)이란 용어는 학술적으로 엄밀히 정의되어 있지 않음
- 슘페터(Joseph A. Schumpeter)도 경제체제의 전환에 있어 창조적 파괴가 중요하고 그 원천을 기업과 기업가정신에서 찾았지만 혁신원천을 정의하지 않음
- 다수의 기술혁신연구에서는 기술혁신을 유발하는 원천을 다양한 자원과 혁신주체의 내적동기(motivation) 및 외부 환경적 요인 등에서 밝히고 있으나 혁신원천 자체에 대한 학술적 정의나 논의 많지 않음
○ 혁신을 프로세스 관점에서 구분해보면 아래 혁신원천, 혁신자원, 혁신활동, 혁신성과 및 혁신인프라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혁신원천과 혁신자원은 구분 필요
- 혁신자원은 혁신활동에 직접적으로 투입이 가능한 자원(resource)을 의미하는 반면, 혁신의 원천(source)은 이보다 근본적이고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아이디어, 정보, 지식, 네트워크 등을 의미
○ (분석의 초점) 혁신원천이 다양한 혁신주체로부터 어떠한 기회에 의해 생성되고 어떠한 상호작용과 제도에 의해 혁신자원으로 전환되며, 이후 혁신활동과 혁신성과에 이르기까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가 분석의 관점임
○ (혁신원천의 조작적 정의) 산업 내 다양한 혁신주체에 의해 생성되고 산업 내·외부 환경변화와 기회에 의해 혁신자원으로 전환될 수 있는 보다 근원적인 지식, 정보, 네트워크 등
○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혁신원천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한국 화장품 기업들에 있어 혁신자원은 무엇이고 어떠한 기회가 주어졌으며 이를 혁신자원으로 전환하여 혁신성과까지 이어졌는지를 맥락적(contextual)으로 설명하는데 활용
[그림 ] 혁신원천과 혁신의 프로세스
3. K-뷰티 산업의 혁신시스템 분석
□ K-뷰티 1세대 : 형성기(~’00)
○ (기술) 화장품 산업의 시작 시기로 피부과학 관련 기초연구를 통해 화장품 효능 관련 지식을 축적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백, 자외선 보호 등의 기능성 제품 출시
○ (행위자) 1990년대 한미 FTA 체결 등으로 시장이 개방되면서 산업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였고 민간 주도로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하였으나 주체 간의 연계는 강하지 않음
- (주요 기업) 코리아나 화장품, 태평양, LG생활건강, 한국화장품 등
[그림 ] 1세대 화장품산업 기업 간 혁신네트워크
○ (제도) 국내 시장의 급성장과 함께 수입자유화 조치로 많은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난립되었으나 1992년 우수제조적격업체도입, 제조물책임법 도입되었고 1999년 화장품법이 제정되면서 시장질서가 강화되고 산업화 기반 마련
○ (시장수요) 화장품 산업의 유통채널이 방문판매와 종합화장품 전문점에서 대형마트, 백화점 및 약국 등으로 확대되었으며 광고에서는 화장품의 기능성을 강조
□ K-뷰티 2세대 : 도약기(’00~’10)
○ (기술) K-뷰티 2세대에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이를 기반으로 세계 최초 제품이 출시되었으며 주름개선, 미백연구가 진행되었고 천연 및 한방 화장품 연구가 시작
○ (행위자)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의 양강구도가 강화되었으며 2000년대 중후반부터 드러난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등 ODM 업체가 성장함
[그림 ] 2세대 화장품산업 기업 간 혁신네트워크
○ (제도) 화장품법의 지속적 개정으로 생산자 책임이 강화되었으며 2007년에 전성분 표시제로 소비자의 안전이 강화됨
○ (시장수요) 저가제품 출시를 통해 화장품 시장이 확장되었으며 오프라인 원브랜드숍, 온라인 채널 및 홈쇼핑 등 유통채널이 다양화됨
□ K-뷰티 3세대 : 고도화기(’10-현재)
○ (기술) 근본적인 피부노화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유효성분의 전달 및 지속성 향성 등 고기능성 기술에 집중하면서 의료 및 ICT 기술과의 융합이 가속화됨
○ (행위자) 중앙 및 지방정부 역할이 증가하면서 연구개발 지원과 산업단지 준공이 이루어졌고 온라인 시장이 확대되면서 화장품 판매업자와 중소 화장품 제조업자들의 협력 관계가 공고해짐
[그림 ] 3세대 화장품산업 기업 간 혁신네트워크
○ (제도) 정부에서 화장품 산업 진흥을 위한 발전계획 수립이 시작
- (주요 계획) ‘화장품산업 중장기 발전계획(2013년)’, ‘화장품산업종합발전계획(2017년)’, ‘K-뷰티 미래 화장품산업 육성방안(2019년)’
○ (시장수요) 소비자의 소비 패턴 다변화와 유행주기가 짧아지면서 다양한 상품군을 구비한 온라인 채널이 선호되고 온라인 매출도 급상승 중
- 유통채널은 기존의 원브랜드숍에서 헬스&뷰티스토어로 변화되었으나 이러한 오프라인 변화도 온라인으로 빠르게 대체
4. K-뷰티 산업의 특허 분석
□ 특허분석의 개요
○ 화장품 산업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화장품 기술을 개발하는 주체들의 연구개발 활동과 성과를 보여주는 산업지표 중 하나인 특허 분석을 실시
○ 특허 출원 동향을 통해 화장품 산업의 혁신 성과를 살펴보고, 발명자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화장품 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주체들의 혁신 활동을 바탕으로 혁신 원천이 어떤 주체를 통해 어디에서 발굴되어 발전하는지 탐색
○ 화장품 산업의 분석 구간은 1년 6개월 미공개구간을 제외하고 출원일 기준으로 1979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검토
변수
국가
검색 DB
분석구간
검색범위
공개등록특허
(공개등록일 기준)
한국
Wintellips
1979년 ~ 현재(2020.5)
특허공개 및 등록 전체문서
<표 > 특허검색 DB 및 검색 범위
○ 분석대상기술은 화장품 산업의 주요 기술혁신 분야인 기능성 분야(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아토피 개선, 마스크팩)로 구성
기술
분류
특허검색식
분석
대상건
미백(A)
((미백* 화이트닝* whitening* 라이트닝* 브라이트닝* Skin-lightening* (Skin adj lightening*) 색소침착* (색소 adj 침착*) pigmentary* pigmentation* 멜라닌* melanin*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and (화장품* 화장료* 코스메틱* cosmetic* makeup* (make adj up) 크림* 로션* cream* lotion* 스킨케어* (스킨 adj 케어*) (skin adj care*) A61K*)).TI,AB,CLA,IPC.
4,677
주름
개선
(B)
((Wrinkl* 주름* 링클* 노화* 항노화* 안티에이징* (anti adj aging) 재생* 탄력*) and (화장품* 화장료* 코스메틱* cosmetic* makeup* (make adj up) 크림* 로션* cream* lotion* 스킨케어* (스킨 adj 케어*) (skin adj care*) A61K*)).TI,AB,CLA,IPC.
7,460
자외선
차단(C)
((자외선* 방사선* 유브이* 유-브이* ((울트라 ultra) adj (바이올렛* 바이얼렛* violet)) UV ultraviolet* ultra-violet* 선크림* 썬크림* suncream*) and (화장품* 화장료* 코스메틱* cosmetic* makeup* (make adj up) 크림* 로션* cream* lotion* 스킨케어* (스킨 adj 케어*) (skin adj care*) A61K* A61Q-017* A61Q-019*)).TI,AB,CLA,IPC.
3,160
아토피개선
(D)
((아토피* 아토픽* atopi* atopy* 피부염* 항염증* 염증* (anti adj imflamation*) 항산화* (anti adj oxidant*)) and (화장품* 화장료* 코스메틱* cosmetic* makeup* (make adj up) 크림* 로션* cream* lotion* 스킨케어* (스킨 adj 케어*) (skin adj care*) A61K*)).TI,AB,CLA,IPC.
7,307
마스
크팩
(E)
((마스크팩* 마스크시트* 하이드로겔마스크* ((마스크* Mask* 얼굴* 안면*) near (팩* 하이드로겔* 하이드로젤* hydrogel* pack* 시트* 시이트* 쉬이트* 쉬트*)) ((페이셜* 훼이셜* Facial* 얼굴* 안면* face*) near (마스크* Mask*)))).ti,ab,cla. (마스크* and (a61k* a45d*)).TI,AB,CLA,IPC.
2,681
합계
25,285
<표 > 분석대상 최종 검색식
○ 유효 특허는 아토피개선 7,305건, 주름개선 7,148건, 미백 4,631건, 자외선차단 3,494건, 마스크팩 2,355건 순으로 집계되었고 총 24,933건이 도출
분류
화장품 기술분류별 유효데이터 건수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차단
아토피개선
마스크팩
합계
유효 데이터
4,631
7,148
3,494
7,305
2,355
24,933
<표 > 화장품 기술분류별 유효특허 선별결과
□ 화장품산업 특허트렌드 분석
○ 90년대 중반부터 특허 출원량이 약 2배 규모로 증가하면서 상승세 지속되고 있고 화장품 산업 분야의 출원건수 상위 10개 출원인을 살펴보면 브랜드 기업이 특허 출원에 적극적인 활동을 보이면서 기업 규모별 특허 성과에 격차를 보임
[그림 ] 화장품 산업 분야의 국내 연도별 특허 출원 건수
[그림 ] 화장품 산업 특허 다출원자
□ K-뷰티 산업 네트워크 분석
○ 산업혁신에 기여하는 주체 간의 관계와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주체 유형은 기업, 대학, 정부, 개인, 연구기관 등으로 구분하고 혁신원천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발명자 네트워크를 분석함
○ (혁신성) 화장품 산업의 혁신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산업별 특허출원 성장률을 비교분석한 결과 화장품 산업은 타 산업 대비 특허출원을 통해 기술을 점유하고자 하는 경향이 매우 강함
- 화장품 산업이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발전하는 과학기술 기반 산업적 특성을 갖고 있고 상대적으로 혁신성이 높음
○ 화장품 산업의 특허 등록률은 출원율에 비해 다른 산업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혁신 주체들이 주로 기술의 질보다 양에 치중하는 특허 전략을 갖고 있고, 기술 장벽은 높지 않은 것으로 유추
[그림 ] 산업 분야별 특허 출원 성장률 비교
구분
출원율
등록률
전산업
45.4
54.6
화장품
52.7
47.3
디스플레이
50.6
49.4
반도체
45.4
54.6
석유화학
40.3
59.7
의약
48.0
52.0
전기기기
33.0
67.0
제조업
44.8
55.2
<표 > 산업 분야별 특허 등록률 현황 비교
□ 행위자별 네트워크 연계 특성 분석
○ 화장품 산업의 주요 주체들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기업, 대학, 연구기관의 특허 출원에 기여한 발명자 네트워크를 분석
○ (분석대상) 주요 주체를 브랜드 기업, OEM/ODM 기업, 중소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 5개 그룹으로 구분하고 다출원 순위에 따라 주체별로 3개 기관 선정
[그림 ] 화장품 산업 혁신 주체별 발명자 네트워크
○ 15개 기관의 특허출원에 기여한 총 발명자 수는 2,146명으로 공동발명 수는 14,574건이고 브랜드 기업과 OEM/ODM 기업의 네트워크 규모가 크고 밀집된 반면 중소기업은 중심에서 분리된 경향이 있음
○ 브랜드 기업의 네트워크 규모가 가장 크고 발명자 간 연계가 높았고, 연구기관은 네트워크 규모에 비해 공동 발명이 활발
구분
브랜드기업
OEM/ODM
중소기업
연구기관
대학
브랜드기업
88 (21.20%)
55 (13.75%)
29 (1.84%)
9 (0.05%)
OEM/ODM
88 (7.58%)
24 (6.00%)
18 (1.14%)
3 (0.02%)
중소기업
55 (4.74%)
24 (5.78%)
22 (1.40%)
0 (0.00%)
연구기관
29 (2.5%)
18 (4.34%)
22 (5.50%)
2 (0.01%)
대학
9 (0.78%)
3 (0.72%)
0 (0.00%)
2 (0.13%)
합계
181 (15.59%)
133 (32.05%)
101 (25.25%)
71 (4.5%)
14 (0.08%)
<표 > 혁신 주체 간 공동발명을 수행한 발명자수 및 비중
○ (중심성 지표) 모든 혁신 주체들은 고유벡터 중심성은 상대적으로 높은데 특히 중소기업의 고유벡터 중심성이 가장 높고 브랜드기업은 고유벡터 중심성은 높지만 근접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이 매우 낮음
구분
차수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고유벡터 중심성
브랜드
0.1109602
0.002052913
0.04889051
0.9495347
OEM/ODM
0.1091003
0.01199618
0.07860291
0.965976
중소기업
0.05173275
0.001767408
0.02167356
0.9782364
대학
0.1134198
0.9353237
0.009085619
0.9774271
연구기관
0.08470573
0.002174041
0.0503223
0.9683133
<표 > 혁신 주체별 주요 중심성 지표 비교
○ (소결) 화장품 산업은 소비자 니즈와 트렌드를 팔로우하기 위한 관련 기술발전이 빠르고, 분야 간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기 때문에 혁신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혁신 주체 간 연계의 강화가 필요
5. 해외사례: 프랑스
□ 프랑스 화장품과 산업
○ 화장품 산업은 프랑스가 국제적으로 산업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 지극히 프랑스적이면서도 글로벌하다는 아이러니한 특성을 지님
○ 프랑스 화장품은 기본적으로 화장품과 관련된 국내법의 적용을 받지만, 화장품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들의 경우에는 EU REACH의 적용대상
○ 프랑스 및 EU 화장품의 경우 의약품과 화장품의 이원적 규제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프랑스 역시 화장품과 의약품, 단 2개의 분류체계를 가지고 있음
○ 프랑스 화장품의 산업경쟁력 수준은 전 세계 최고수준으로 2019년도 프랑스 관세청(douanne) 자료에 의하면 프랑스 화장품 산업은 한해 약 17.81억 유로의 수출액을 달성하였으며, 프랑스의 주요 수출품목 중에서도 2위를 기록
○ 프랑스의 화장품 기업은 55,000명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으며, 프랑스 내 위치한 75개의 데파르트망(도) 전역에서 화장품 산업 종사자가 고루 분포
○ 프랑스 화장품 산업은 제품 제조, 연구, 포장, 물류, 교육 등을 밸류체인으로 연결하여 산업적 기반이 강하고 고용창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함
○ 프랑스의 대형 화장품 기업들을 매출액의 많은 부분을 연구개발비로 재투자하며 화장품 산업은 제품 수명 주기가 짧고 혁신이 중요하기 때문에 대형 제조업체로 집중화되고 주도하는 경향이 있음
□ 프랑스 화장품 산업 관련 지식과 인력
○프랑스의 화장품학은 응용과학으로 프랑스의 학제는 응용학문인 화장품학(cosmetologie)으로도 교육과정이 존재하나 기초학문인 생물학, 화학, 생리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화장품학은 이들 세 학문 분야의 요소를 절충
○ 프랑스에서의 화장품학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교육을 받는 학생이 어떠한 진로를 선택하고, 직업을 가지게 될 것인지와 연관 지어 세부적인 커리큘럼이 구성되며 교육과정 이수 후 연계되는 직업군을 고려하여 설계
구분
관리자 및 엔지니어 (Cadre et ingénieurs)
전문 기술인 (Techniciens)
직업군
유관 교육과정
직업군
유관 교육과정
R&D
임상시험 전문요원(ARC)
연구관리자
제품책임자
조향사
생물학 연구원
화학 연구원
학사
화학
석사
응용화학
약학
보건화학
화학 원리
-제형 기술자
-분석 개발 기술자
-생약 개발 기술자
-생물 연구 기술자
기술학사(DUT)
화학
전문학사(licence pro)
-화학
-제형 관리
제조 및 생산, 품질관리
-제조 책임자
-생산 책임자
-화학 공정 책임자
석사
생산관리, 풀질 관리
생산 기술
-품질관리 기술인
기술학사(DUT)
-화학공학
-제품공학
전문학사(licence pro)
-관리 시스템 경영
-화학 공학, 약학, 농산물 자원공학
판매. 마케팅, 포장, 감각 분석
-감각분석가
석사
-인지과학
-제품포장 기술인
-의약화장품 상담가
기술학사(DUT)
-포장 기술
전문학사(licence pro)
-의약화장품학
<표 > 프랑스 화장품 전공 후 관련 직업
○ 고급 인력 양성을 위한 그랑제꼴(grand ecole) 교육을 운영
- (ISIPCA) 국제적으로 명성있는 조향 및 화장품 학교로 운영중인 교육 과정은 향수, 화장품, 식용향료 분야의 전문학사, 일반 석사, 전문석사, 산업 매니지먼트 등 약 10개의 과정이며 ISIPCA의 독특한 교육시스템은 철저한 산업연계형
- (Ecole de Parfum) 화장품 대기업과 프랑스내 화장품협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설립을 주도하였으며 실무에 적합한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을 수행
- (ESCOM) 1957년에 설립된 화학분야의 과학자를 양성하는 그랑제꼴
□ 프랑스 화장품 산업 주요 행위자와 네트워크
○ 프랑스 보건부(Ministère de la Santé) 산하의 보건총국(Direction Générale de la Santé)에서는 프랑스내 화장품과 관련된 보건안전의 총괄책임
○ 유럽위원회(Commission Euroéenne)는 화장품 산업을 담당하는 두 개의 위원 즉, ①소비자 안전을 위한 과학위원회(CSSC, Comité scientifique pour la sécurité des consommateurs)와 ②화장품 상시위원회(COMCOS, Comité permanent pour les produit cosmétiques) 운영
○ 프랑스 화장품 산업을 이끌고 있는 대표적인 고급 화장품(Grand marque) 기업은 로레알 그룹과 LVMH 등이 있음
○ 프랑스 화장품 산업의 기업계 이익을 보호하고 의견을 전달하는 소통채널로 ‘단일화장품연합체(FEBEA, Fédération des Entreprises de la Beauté)’와 ‘단일 미용과 향수 연합단체(CNEP, Confédération nationale de l’Esthétique et Parfumerie)’ 등이 있음
○ FEBEA와 CNEP 등의 연합체가 정기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고 에따-제네로의 의회제도에서 프랑스 향장 산업의 주요 현안에 대해서 논의하기도 함
○ 물리적 네트워크로는 코스매틱 밸리와 테랄리아-파스(PASS) 등이 있음
- (코스매틱 밸리) 본 클러스터의 특징은 기업, 연구센터, 교육기관 등의 집합체로 구성되며 다양한 R&D 프로젝트와 스타트업 기업 지원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프랑스의 화장품 및 향수 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
- (테랄리아-파스, Pole TerrarilaPASS) 향료, 항수, 화장품 및 감미료 분야에 특화된 클러스터로 향수 관련 산업 발전에 적합한 환경을 보유
[그림 ] 테랄리아-파스(PASS)
□ 프랑스 화장품 규제와 제도
○ 화장품 산업은 제품의 안전성을 기본으로 하는 산업이기 때문에, 이를 위한 규제 변화는 혁신을 저해하는 요소가 아닌 혁신을 위한 안전장치라는 것을 이해하고 규제와 제도가 변화
○ 유럽차원에서의 화장품에 대한 규제는 최초의 유럽연합 지침인 Directive 76/768/CE의 내용과 새로운 규정인 2009년 9월 30일에 규정된 n.1223/2009 지침에 따름
● 화장품의 시장 진입 전 강화된 안전 요건
● 책임있는 자에 대한 개념 정의
● 유럽연합국가의 화장품 시장에 판매되는 모든 제품들의 집중화된 제품 고지
● 심각한 이상 반응이 있는 경우 의무적 신고
● 나노 물질의 이용에 관한 규제
● 청구(allegation)에 관한 공통 규정의 소개(EU regulation n.655/2013): 진실성, 규정과의 합치, 입증 가능한 물질의 존재, 신뢰성, 공정함
<표 > n.1223/2009 핵심 내용
○ 화장품은 의약품에 비해 위험성이 작기 때문에 다양한 혁신을 시도할 수 있지만 화장품도 안전성을 담보하지 않고 시장에 공급될 수는 없음
○ 프랑스의 의약품안전보건국(ANSM)에 따르면, 제조업체는 해당 제품이 입법 및 규제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건강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하는 책임이 있기 때문에 유럽 시장에 출시되는 화장품은 강력한 규정을 준수해야 함
- (최신 규제 동향) 친환경성의 강화로 생물다양성 법124조에 따라 스크럽 제품에 사용되는 미세고형 플라스틱의 사용이 금지 등
□ 프랑스 화장품 산업의 시사점
○ (다양성과 포용의 혁신 생태계) 글로벌 화장품 대기업과 지역 기반의 노하우를 가진 소규모 화장품 기업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성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프랑스 화장품 생태계는 지속가능한 구조
○ (현장 중심의 양질의 인적자본) 화장품 산업 생태계의 역동성은 양질의 노동력이 주요 혁신원천이며 이를 위해 다양하고 우수한 교육 프로그램 존재
○ (산학연계 클러스터) 실무연계형 교육이 가능한 것은 코스메틱 벨리와 같은 화장품 산업클러스터에서 산학 연계를 강하게 장려하고 있기 때문
○ (강력한 규제체계) 프랑스 화장품 브랜드가 현재까지 세계 최고의 자리를 지속가능하게 만든 원동력은 연구개발 과정에서의 화장품에 대한 안정성과 강력한 소비자 보호를 위한 규제 프레임
- 강력한 규제는 일시적으로 산업계에 부담이 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프랑스 화장품의 신뢰도를 제고하고 브랜드 이미지의 개선효과가 있기 때문에 화장품 산업의 규제체계를 공고하게 만드는 것이 성장의 혁신원천으로 작용
6. K-뷰티의 혁신원천 분석
○ 혁신원천의 분석을 위해 산업계, 학계, 정부 기관 등의 전문가에게 화장품 산업의 성장요인, 혁신원천, 기술 혁신의 방향, 인력관리, 산업 생태계의 강점과 약점 및 지속가능성 등에 대해 인터뷰 진행
구분
소속
직위
경력
전문가 A
산업계
글로벌 기업
연구소장(CTO)
15년 이상
전문가 B
산업계
국내 ODM 기업
연구소장(CTO)
30년 이상
전문가 C
산업계
국내 브랜드 기업
부사장
15년 이상
전문가 D
학계, 정부기관
교수, 책임자
20년 이상
전문가 E
정부기관
국장
15년 이상
전문가 F
정부기관
팀장
10년 이상
전문가 G
산업계
국내 스타트업
대표
30년 이상
전문가 H
산업계
국내 브랜드 기업
대표
25년 이상
전문가 I
산업계
국내 화장품 원료기업
대표
20년 이상
전문가 J
산업계
국내 브랜드 기업
전무, 연구원장(CTO)
25년 이상
<표 > 심층인터뷰 대상자
구분
주요 질문 문항
산업의 혁신성
한국 화장품 산업의 주요 성장 요인
국내 화장품 산업의 혁신원천
국내외 화장품 기술혁신의 방향
혁신원천 형성과 전환
국내 화장품 기업의 혁신원천의 형성과정
혁신원천이 혁신자원과 혁신활동으로 전환되는 주요 기제
산업의 지속가능성
산업 생태계의 주요 강점과 약점
규제 및 제도적 이슈
생태계 발전 전략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분야
기타
교육 및 인적자본
대학과 공공부문(출연연구소) 등의 역할
<표 > 심층인터뷰 주요 질문
□ K-뷰티 산업의 혁신원천
○ 전문가와 연구진의 다양한 의견을 종합해서 혁신원천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단순화한 화장품 출시과정을 아래의 그림과 같이 작성
아이디어/컨셉
➡
원료
➡
배합/제조
➡
심사/평가
➡
대량생산
[그림 ] 단순화한 화장품 출시 과정
○ 화장품의 기술은 제품의 생산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유형의 기술과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브랜드 컨셉을 수립하는 무형의 기술로 구분 가능한데 혁신원천을 유형과 무형의 기술로 구분해서 도출하고자 함
○ (혁신원천 1. 무형, 브랜드 컨셉) 기존 제품과의 차별화 전략을 위한 브랜드 포지션 변경과 기존의 발상을 넘어서면서 소비자 욕구를 만족시키는 제품을 위한 브랜드 컨셉 수립은 국내 기업이 탁월
- LG 생활건강의 후는 한방에서 궁중화장품으로 컨셉을 변경하였고 AHC는 눈가에 바르는 아이크림을 모든 얼굴에 바르는 아이크림으로 발상의 전환 제품 출시
○ (혁신원천 2. 유형, 한방 원료) 국내 및 중화권 여성들의 피부에 적합한 한방, 생약성분의 신소재를 개발하여 제품화하는 연구개발로 시장을 견인하는 설화수, 후, 동인비, 다나한 등의 제품 출시
○ (혁신원천 3. 유형, 제형 기술) 화장품 유형의 기술은 소재, 제형, 평가 및 용기용품 기술로 구분되며 4가지 중 국내에서 제형기술의 기술력이 가장 높은데 이는 단시간에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할 때 유리하기 때문
○ (혁신원천 4. 무형, 소비자 니즈 기반으로 단기간에 제품화하는 능력)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와 통점(pain point)을 파악하고 단기간에 제품화하는 능력 또는 문화는 국내 화장품 산업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
□ K-뷰티 산업의 혁신원천 형성과 전환
○ 혁신원천이 혁신자원으로 전환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주체이자 요인은 OEM/ODM 기업의 기술력과 생산력
○ OEM/ODM 기업을 통해 무형의 기술이 유형의 기술과 만나고 단시간에 시장에 출시될 수 있는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K-뷰티는 급성장
- ODM 기업의 핵심은 R&D를 통한 기술력으로 해외 및 국내 대기업의 R&D 수준은 매출액 대비 1~2%이나 한국콜마와 코스맥스는 약 5% 수준
- 기술력을 통해 국내에서 중소, 중견 및 대기업 등을 모두 포함해서 아이디어 수준으로만 제품 컨셉을 제시하면 바로 제품화할 수 있는 기술력 보유
- ODM 기업들은 화장품 기업과의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기술력, 제품생산력, 제품차별화 및 품질관리 능력 등으로 국내외 네트워크를 확장하면서 다수의 국내 화장품 기업도 각 기업이 가진 혁신원천을 보다 쉽게 혁신자원으로 전환
아이디어/컨셉
➡
원료
➡
배합/제조
➡
심사/평가
↑
↑
↑
↑
K-뷰티 산업의 혁신원천 형성과 전환 : OEM/ODM 기업의 기술력과 생산력
국내 화장품 산업의 혁신 원천
(무형) 브랜드 컨셉
(유형)한방 원료
(유형)제형 기술
(무형)소비자 니즈 기반 단기간 제품화 능력
[그림 ] 화장품 산업의 혁신원천과 전환 기제
□ K-뷰티 산업의 지속가능성
○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다각도로 고려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검토된 문헌, 특허분석 및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기반 SWOT 분석을 실시하고 SWOT 결과를 혁신원천과 전환기제의 측면에서 K-뷰티의 지속가능성 판단
Strength
Weakness
■ 세계 최초 제품 개발(쿠션, BB크림, 마스크팩 등)
■ 후와 설화수 등의 한방/궁중 화장품 개발
■ 전략적인 브랜드 컨셉 수립
■ 소비자 니즈에 맞는 빠른 제품 출시
■ OEM/ODM 기업으로 강력한 생산기반 보유
■ 스타일난다, 닥터자르트 등 성공적인 M&A
■ 1인 기업 및 온라인 기업 증가
■ 한방 원료/소재 이외에 다른 대안이 부재
■ 원료 수입률이 지나치게 높음
■ 브랜드기업(아이디어/컨셉)과 OEM/ODM기업(제조/생산)이 커플링 되어 있는 생태계 시스템
■ 낮은 기술적 진입장벽으로 인해 과도한 기업 진입
Opportunity
Threat
■ 중국 관광객의 급증
■ 온라인 유통채널 확대
■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 및 제도정비
■ 천연소재 인증 및 친환경 패키지 등의 ‘클린뷰티’
■ 유사 제품의 양산
■ 중국과의 사드 갈등 등 외적 요인
■ 따이공을 통한 부실한 성장과 유통채널 관리 부족
■ 중국 로컬브랜드의 증가
■ 중국 시장에서 일본 화장품 점유율 상승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화장품 수요 감소
■ 유럽 REACH 등 국제규제 및 인증 강화
■ 천연소재 인증 및 친환경 패키지 등의 ‘클린뷰티’
<표 > K-뷰티 SWOT 분석
○ (전환 기제의 이전) OEM/ODM 기업과 브랜드 기업의 커플링은 혁신원천이 혁신자원으로 전환되는 최적화된 시스템이었으나 전환의 핵심기제인 OEM/ODM 기업인 한국콜마와 코스맥스가 2004년부터 중국에 공장을 설립 및 증설
- 코스맥스는 상하이와 광저우에 법인을 설립하였고 약 6억개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한국콜마는 중국 북경과 무석에 공장을 설립하여 연간 5억개 생산 가능
-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중국 법인을 통한 현지 제품 의뢰수주건은 중국 현지 제조물량 90%에 달하면서 중국 브랜드 제품의 품질이 국내와 유사
- 국내 혁신원천의 전환을 담당한 기제가 중국으로 이전하여 중국의 혁신역량을 높이게 되는 계기가 되면서 K-뷰티의 지속가능성 담보가 어려운 상황
○ (한방원료 한계) 글로벌 시장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원료와 소재의 사용은 브랜드 컨셉을 구축하기 쉽지만 한방 원료는 글로벌 시장에서 생소하기 때문에 이제 국내에서도 한방 원료 이후의 대표적인 원료의 개발이 필요
○ (소재 발굴 어려움) ‘나고야 의정서’와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으로 인해 원료 개발 및 수급이 쉽지 않은 상황
○ (니즈기반 단기간 제품 출시) 소비자의 정확한 니즈파악으로 단기간에 제품화하여 시장에 출시하는 경우 기술적 장벽이 높지 않고 타사에서 쉽게 유사제품 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성공할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한계
○ (시장의 테스트베드) 높은 안전성 기준에 의하여 제품을 출시하기 보다는 시장에서 빠르게 피드백 받는 형태의 제품 출시는 해외시장 특히, 유럽시장 진출에 한계
○ K-뷰티 산업의 SWOT 분석을 기반으로 혁신원천과 전환을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분석해보면 국내 강점보다는 약점과 위협요인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으로 K-뷰티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대안이 필요한 시점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세계 최초 제품 개발(쿠션, BB크림, 마스크팩 등)
■ 후와 설화수 등의 한방/궁중 화장품 개발
■ 전략적인 브랜드 컨셉 수립
■ 소비자 니즈에 맞는 빠른 제품 출시
■ OEM/ODM 기업으로 강력한 생산기반 보유
■ 스타일난다, 닥터자르트 등 성공적인 M&A
■ 1인 기업 및 온라인 기업 증가 ↑
■ 한방 원료/소재 이외에 다른 대안이 부재 ↑
■ 원료 수입률이 지나치게 높음 ↑
■ 브랜드기업(아이디어/컨셉)과 OEM/ODM기업(제조/생산)이 커플링 되어 있는 생태계 시스템
■ 낮은 기술적 진입장벽으로 인해 과도한 기업 진입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 중국 관광객의 급증
■ 온라인 유통채널 확대
■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 및 제도정비
■ 천연소재 인증 및 친환경 패키지 등의 ‘클린뷰티’
■ 유사 제품의 양산 ↑
■ 중국과의 사드 갈등 등 외적 요인
■ 따이공을 통한 부실한 성장과 유통채널 관리 부족
■ 중국 로컬브랜드의 증가 ↑
■ 중국 시장에서 일본 화장품 점유율 상승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화장품 수요 감소
■ 유럽 REACH 등 국제규제 및 인증 강화 ↑
■ 천연소재 인증 및 친환경 패키지 등의 ‘클린뷰티’↑
<표 > K-뷰티 SWOT 분석과 지속가능성
7. 결론 및 정책제언
○ 본 연구는 한국 화장품 산업의 혁신원천을 밝혀내고 어떠한 작동기제로 전환되는지 혁신시스템 안에서 분석하는 연구
○ 분석 결과 화장품 산업은 혁신기술 기반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되고 있고 그 변화 가운데 국내 혁신원천의 지속가능성은 담보되지 않은 상황
○ K-뷰티의 성장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① 혁신원천 생산기제의 다원화, ② 혁신원천의 전환과 연계를 촉진하는 혁신네트워크 형성과 확대 및 ③ 강건한 혁신시스템을 위한 제도 내실화와 고도화가 필요
혁신원천
전환기제
정책제언
세부내용
브랜드
컨셉
OEM/ODM 기업
혁신원천 생산기제의 다원화
원료 및 기초소재 연구 활성화
기술력 기반 혁신기업 육성을 위한 R&D와 공공분야 기술연계
한방원료
혁신원천의 전환과 연계를 촉진하는 혁신네트워크 형성과 확대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다원화된 클러스터 형성
효과적인 혁신네트워크를 위해 다양한 협의체 활동 지원
제형기술
강건한 혁신시스템을 위한 제도 내실화와 고도화
시장 수요에 기반하지 않은 신규 제도 도입은 충분한 검토 필요
산업 전략에 부합하는 우수인력 양성 방안 필요
니즈기반 단기간 제품화
<표 > 혁신원천 관점의 K-뷰티 지속가능성을 위한 정책 제언
□ 혁신원천 생산기제의 다원화
○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혁신원천을 다양화 할 수 있는 원료와 소재 발굴 필요
원료의 개발이나 기초소재 연구는 장시간이 소요
- 국내 화장품 산업 원료의 수입의존도가 약 70% 이상이고 해외에서 수급하는 전략을 유지하기에는 제도적으로 어려움
- 소재개발에 있어서도 독일이나 일본이 강점을 가진 분야 이외에 다양한 아이디어 기반으로 니치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원료와 소재 개발 연구가 활성화
○ 혁신원천 전환의 핵심 행위자이자 대다수 기업의 R&D 및 생산을 담당한 OEM/ODM 기업으로 일원화된 시스템을 다원화하기 위해 혁신기업 육성과 공공분야와의 기술 연계가 필요
- 중소/스타트업이 기술적 부채를 벗어나도록 R&D 투자를 통해 원천기술을 보유하거나 미래기술 탐색 필요
- 혁신기업이 자체연구소를 보유하지 않으면서 기술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소와의 기술이전과 사업화가 활발히 일어나야 하기 때문에 기술이전 비용, 지속적인 기술사업화 서비스 지원 필요
□ 혁신원천의 전환과 연계를 촉진하는 혁신네트워크 형성과 확대
○ K-뷰티 산업의 혁신원천은 오픈 이노베이션 등의 외부이기 보다는 내부혁신 위주로 이루어져있고, 주제간 지식 연계도 폐쇄적
○ 혁신시스템 발전 및 혁신원천이 다양하게 생성되려면 연계성 높은 혁신네트워크 형성 및 확대 필요
- (K-뷰티 클러스터) 물리적 클러스터를 구축하고자 한다면 주요 목적*에 따라 접근하여 구축
* (예시) 민간 주도의 자생적 생태계 추구?, 원료와 생산공정의 최적화된 입지 추구?
- (다원화된 클러스터) 화장품 산업은 동종업계의 클러스터를 통한 협업효과도 중요하지만 타산업과 실수요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아이디어/컨셉의 창발효과도 중요하기 때문에 도시형 혁신공간(innovation district)* 등의 클러스터도 고려 가능
* 기술인프라가 우수한 지역에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과 기관이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및 엑셀러레이터 등과 연계되어 집적한 고밀도 공간
- (협의체 지원) 산업내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고 소통할 수 있는 협의체 구성 및 활동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정부 지원도 바람직
- (출구 전략) 중소 스타트업의 규모 확장을 위해 ‘성장사다리’펀드와 같은 정책 자금도 고려할 수 있으며 대기업에서도 적극적으로 스타트업의 육성과 M&A를 모색해 보는 것도 혁신네트워크의 확장을 위한 하나의 방안
□ 강건한 혁신시스템을 위한 제도 내실화와 고도화
○ 시장 수요보다 앞선 제도 도입은 충분한 검토 필요
- 국내의 맞춤형 화장품 관련 정책은 2020년 3월부터 신설되었고 이후 화장품 원료를 혼합, 소분 및 품질 관리를 담당하는 ‘조제관리사’ 제도 도입
- 산업과 시장의 성장보다 뒤쳐진 제도의 개정이나 규제 혁신은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지만 산업에서 충분한 요구나 니즈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수립된 제도는 오히려 산업과 시장에 부담
○ 산업 전략에 부합하는 우수인력 양성 방안 필요
- 화장품 산업 전략은 세계 3대 화장품 수출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기능성, 맞춤형, 고급화를 추구하고 있으나 우리의 인력양성은 해당 전략에 부합되지 않는 저임금 노동자들의 고용창출 방안으로 구성
- 서비스 제공단계 보다는 기계, 유전공학, 독성학, 경영학 등 다양한 분야의 인재들이 융합연구를 통해 혁신원천을 창발할 수 있도록 고급인력의 양성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