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보고서명

대학 밖 학술단체에 대한 현황 조사와 불안정 연구자를 위한 지원 및 연구안전망 구축 방안 연구

  • 책임자 김민환
  • 소속기관한신대학교
  • 내부연구참여자
  • 외부연구참여자구승우,권기현,박지훈,최은혜
  • 발행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ISBN979-11-5567-695-0
  • 출판년도2023
  • 페이지98
  • 보고서유형 연구회보고서
  • 연구유형 기타
  • 표준분류 종합일반 > 종합일반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대학 밖 학술단체, 불안정 연구자, 연구안전망, 연구자 공제회법
  • 1990년대 이후 대학이 (준)기업화되면서 직접적인 이윤창출에 기여하지 않는 인문사회분야의 연구 및 교육이 쇠락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국내 고등교육체계의 운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 고 있는 비정규 연구자들의 삶도 더욱더 불안정해지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대학원생들과 젊은 연 구자들을 중심으로 하는 대학 밖 학술단체가 부상하고 사실상 ‘비공식’ 고등교육기관이자 연구기관으 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를 목표로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최근 젊은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출현한 대학 밖 학술단체의 현황과 운영실태 등을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 둘째, 불안정 연구자들의 생애주기별 삶에 대한 기본적인 실태조사를 실시한 이후 이들에 대한 법률적 지원방안을 공제회법의 형태로 모색한다.
    이러한 연구의 궁극적 기대효과는 포용적이며 혁신적이며 신도적인 인물사회분야 학술 생태계를 (재)구축하는 데 있다. 대학 밖 학술단체에 대한 지원 및 불안정 연구자의 연구안전망을 위한 법제화를 추진함으로써, 대학 안팎의 교육과 연구가 협력·경쟁·구성원 공유 등을 통해 상호 교류와 발전을 꾀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학문후속세대들에게 분과학문 체계를 넘어서는 교육과 연구 기회를 제 공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교육받고 연구할 수 있게 하는 기반이 될 것. 나아가 대학 밖 대중강좌 활성화를 ‘시민인문학’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